초등학생의 식습관은 성장을 좌우하며, 평생 건강의 기초가 된다. 그러나 초등학생 10명 중 8명은 콩을 잘 먹지 않고 단것을 즐기는 등 식습관이 양호하지 않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클립아트코리아
최근 수원대 연구진은 초등학생 406명을 대상으로 식습관을 조사했다. 조사 방법은 한국영양학회가 개발한 어린이 영양지수(NQ) 설문으로 했다. 그 결과, 영양상태가 양호하다고 평가되는 1·2등급은 각각 10.8%, 9.4%로 10명 중 2명에 불과했다. 3등급은 45.1%, 4등급은 20.4%, 5등급은 14.3%였다. 식습관 측정 문항은 총 19개로, 그중 점수가 낮게 측정된 문항은 ▲콩·콩제품 섭취(41.95점) ▲쌀밥 대신 잡곡밥 섭취(41.87점) ▲단 음식 섭취(43.53점) ▲가공식품 구입시 식품표시 확인 여부(39.9점)로 나타났다.
1등급 기준에서 봤을 때 콩이나 콩제품은 매일 먹어야 하며, 밥 역시 매 끼니 현미, 보리, 조, 수수 등이 섞인 잡곡밥으로 먹어야 한다. 단 음식(초콜릿, 사탕, 탄산음료 포함)은 먹지 않을수록 좋다. 가공식품을 살 때는 영양표시, 제조일자, 유통기한을 확인해야 건강한 식생활을 할 수 있다. 연구진은 "학령기 어린이는 편식이나 지나친 간식 섭취 등 불균형한 식생활을 많이 하므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