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성분을 뺀 '저자극 화장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루 두번 피부에 바르는 화장품도 잘 골라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보통 화장품을 만들 때는 피부결을 좋게 하면서 상온에 오래 보관할 수 있도록 여러 화학 성분을 첨가한다. 이 중에는 파라벤 같은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성분도 있다. 저자극 화장품은 논란이 되고 있는 성분을 빼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다. 저자극 화장품을 잘 고르는 법에 대해 알아본다.
화장품의 유해성분을 뺀 저자극 화장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저자극 화장품은 피부 트러블이 잘 생기거나 피부 질환이 있는 사람이 사용하면 좋다. /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유해 성분 빼고 천연 성분 더하고
대부분의 저자극 화장품에는 파라벤, 계면활성제, 미네랄 오일, 실리콘, 인공색소, 인공향료 등이 안 들어 있다. 대신 비슷한 기능을 하는 다른 성분을 넣었다. 파라벤 대신 황금추출물 같은 천연 성분을 사용하거나 실리콘 대신 인체 친화적인 에스테르 오일 등을 사용하는 식이다.
화장품 성분 중 건강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대표 성분이 파라벤이다. 화장품에서 방부제로 쓰이지만, 장기간 많은 양을 사용하면 몸 속에 흡수되면서 정상적인 호르몬 분비 시스템을 망가뜨린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계면활성제는 수용성 성분과 지용성 성분이 잘 섞이게 하는 것으로, 피부에 머무르면서 습진·피부염 등을 유발할 수 있다. 미네랄 오일은 피부 속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지만 모공을 막아 여드름을 발생시킬 수 있고, 샴푸·린스에 흔히 쓰이는 실리콘은 머리 모공을 막아 탈모를 일으킬 수 있다. 제일병원 피부과 김은형 교수는 "유해 성분으로 인한 작은 자극이 축적되면 피부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평소에 피부 트러블이 잘 생기거나 아토피 피부염·여드름 등 피부질환이 있는 사람은 저자극 화장품을 쓰는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저자극 화장품으로 듀이트리, 아벤느, 하바 등이 있다.
◇피부 타입별 안맞는 성분 확인
저자극 화장품이라고 무조건 안심하면 안된다. 자신의 피부 타입에 안 맞는 성분이 혹시 들어 있지 않은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피부과의사회에서 발표한 '피부 타입별 화장품 선택 가이드'에 따르면 지성 피부는 트리글리세라이드, 팔미틱애씨드, 코코넛오일 등이 든 화장품을 조심해야 한다. 건성 피부는 알코올, 계면활성제, 멘톨, 페퍼민트 성분을 조심해야 하고, 민감성 피부는 알코올, 계면활성제, AHA, BHA, 옥시벤존 등을 피해야 한다〈표〉. 화장품 용기나 상자에 화장품 전 성분이 표시돼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면 된다.
또한 특정 성분이 정말 함유되지 않았는지, 피부 자극은 없는지 공인된 기관에서 검증된 것을 골라야 한다. 저자극 화장품 업체인 듀이트리의 문시언 대표는 "검증되지 않은 천연 성분으로 대체할 경우 오히려 피부 자극이 심한 경우가 있다"며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정한 기관에서 피부 자극도 테스트를 완료했는지, 특정 성분 불검출 시험성적서를 받았는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 자극적인 성분으로 대체된 경우도
특정 성분을 빼고 더 유해하거나 자극이 높은 성분으로 대체된 경우도 있다. 화장품 성분 표시는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 유효 성분이 주로 앞쪽에 표시돼있고, 주의해야 할 성분들이 뒤쪽에 기재돼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김은형 교수는 "일부 저자극 화장품은 제조 시 반드시 필요한 필수 성분까지도 첨가하지 않아 화장품이 변질되거나 물과 기름 성분이 분리돼 있는 경우가 있다"며 "이런 제품을 바르면 피부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규격에 맞게 잘 만든 제품인지 확인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