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ase 1 생리적 위식도 역류
돌 이전 아기는 식도에서 위로 넘어가는 부위에서 음식물 흐름을 조절해 주는 하부 식 도 괄약근이 덜 발달되어 모유나 분유를 먹고 난 뒤 트림 등을 하면서 토하는 경우가 많 다. 이를 '생리적 위식도 역류'라 하는데, 특별히 치료받지 않아도 된다. 생리적 위식도 역류는 아기가 이유식을 먹고, 앉거나 걸을 정도로 자라면 대개 사라진다. 한편, 식도 와 기도는 붙어 있기 때문에 토할 때 나온 이물질이 호흡기를 자꾸 자극하면 폐렴이나 천식 등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자. 토할 때 고개를 옆으로 돌리거나, 토한 후 깨끗이 입안을 헹궈 주는 등 이물질이 기도를 자극하지 않게 해야 한다.
Case 2 위장염
아기는 위염과 장염이 동시에 나타나는 위장염에 걸리면 토한다. 초기에는 감기 비슷한 증상을 보이다, 구토와 설사를 계속한다. 특히 심한 바이러스성 장염에 걸리면 구토는 물론이고 고열, 경련, 설사 등이 함께 나타나니, 아기의 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보자. 아기 가 토할 때 위장염이 의심되면 바로 병원에 데려가 정확히 진찰받고 치료해야 한다.
Case 3 유문(십이지장)협착증
생후 2개월이 안 된 아기가 모유나 분유를 먹고 난 뒤 자주 '왈칵' 하고 토하면 유문협착 증일 수 있다. 유문협착증은 선천적 질병이다. 유문협착증이 의심되면 바로 병원에 데 려가자. 아기가 먹은 모유나 분유는 위에서 십이지장을 거쳐 장으로 나가는데, 십이지 장 근육층이 두꺼워져 협착이 일어나면 모유나 분유가 위에서 장으로 이동하지 못해 토한다. 유문협착증이 있는 아기는 생후 2~3주째 토하기 시작해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이 토하고, 이로 인해 몸무게가 잘 늘지 않는다.
Case 4 식품 알레르기
아기가 특정 식품에 알레르기가 있으면 잘 토한다. 우유나 달걀, 콩, 복숭아, 바나나 등 을 먹고 토하면 그 식품에 알레르기가 있다고 보자. 아기의 식품 알레르기를 알려면 엄 마는 아기가 평소 섭취하는 식품을 세심히 기억해야 한다. 아기에게 식품 알레르기 의 심 증상이 나타나면 전문의에게 보이자.
Case 5 식중독
아기는 식중독에 걸려도 자주 토한다. 식중독은 아기가 섭취한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독성물질로 인해 나타난다. 아기가 구토와 설사를 하고 기운 없이 축 늘어지면 식중독으로 인한 구토일 수 있으니, 바로 병원에 데려가자.
Case 6 뇌종양
뇌종양 등 뇌 질환이 있는 아기 역시 다른 아기보다 자주 토한다. 이때는 구토와 함께 고열, 경련, 목이 뻣뻣해지는 증상을 보인다. 또 신생아 머리 위쪽에 있는 숨구멍인 대 천문이 팽팽해지며, 심하게 보챈다. 아기가 침대 등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머리를 세게 부딪친 뒤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빨리 병원에 데려가야 한다.
Health Tip 아기가 토할 때 대처하는 방법
01 고개를 옆으로 돌려주자 아기가 토하면 고개를 옆으로 돌려주어 입속 이물질이 기도를 막지 않게 하자. 이렇게 하면 토한 것이 입 밖 으로 흘러나온다.
02 충분한 수분 보충 구토한 아기는 탈진할 수 있으므로 수분 공급 에 신경 쓰자. 물을 한 번에 많이 먹이면 구토가 계속될 수 있으니 숟 가락으로 조금씩 떠서 천천히 먹인다.
03 구토로 심한 탈수 오면 응급실 데려가야 아기가 물만 마셔도 토 하거나, 울어도 눈물이 나지 않거나, 소변량이 줄어들 때는 응급실을 찾아 탈수에 대한 적절한 치료를 하자. 응급실에서 시행하는 탈수 치 료는 두 가지다. 입으로 먹을 수 있는 아기는 마시는 수액을 준다. 입으로 먹을 수 없거나, 중등도 이상 심한 탈수 증상일 때는 정맥주사 로 수액을 주입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