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근개란 어깨를 감싸고 있는 4개의 힘줄과 근육(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을 말하며, 이들은 어깨 관절을 안정시키고 팔을 움직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회전근개 파열은 이 4개의 힘줄 중 하나 이상이 파열되거나 끊어진 상태를 말한다. 경미한 경우, 약물이나 물리치료, 주사 등의 비수술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지만, 수술이 불가피할 정도로 심한 경우엔 관절경적 회전근개 봉합술로 끊어진 회전근개 힘줄을 봉합하는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원래 회전근개 힘줄은 뼈와 밀착돼 하나처럼 움직여야 하지만, 파열이 발생하면 힘줄이 원래 있어야 하는 위치에서 벗어나 딸려 들어가면서 어깨에 불안정성을 유발한다. 본래 위치에서 벗어난 힘줄을 원래 위치로 돌아가도록 봉합하는 것이 회전근개 파열 봉합술인데, 문제는 봉합술 후 재파열 비율이 10~20%로 매우 높다는 것이다. 수술을 받은 10명 중 1~2명은 재파열을 경험하는 것으로, 재발율이 높은 수술에 속하기 때문에 수술을 집도하는 전문의의 술기와 숙련도가 중요하다.
회전근개 파열을 봉합하는 방법으로는 단일 봉합법과 이중 브릿지 봉합법이 대표적이다. 보편적으로 시행되는 단일 봉합법은 파열된 힘줄만 봉합하는 방법으로 파열 이전의 해부학적 재건이 불가능해 불안정성을 유발하고 재발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재파열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이중 브릿지 봉합법을 사용하는데, 끊어진 힘줄을 1차로 봉합한 후 교량 형태로 어깨 뼈와 밀착시키는 2차 봉합으로 더 견고한 봉합이 가능하다. 접촉 면적이 넓어 단일 봉합법보다 재파열 가능성을 낮출 수 있어 파열이 크고 복잡한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파열 크기가 작으면 봉합 후 부작용이 적어 예후가 좋다. 하지만 파열 크기가 클수록 재파열과 부작용 가능성이 커진다. 이 경우 이중 브릿지 봉합술로 해부학적으로 완벽히 복원하면, 이전 단일 봉합법보다 재활 기간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일상으로의 복귀를 앞당길 수 있다. 일부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선 오히려 단일봉합법이 더 효과적인 사례도 있다. 경험이 많은 어깨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아 가장 적합한 수술법을 선택해야 재발 가능성을 낮춘 치료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어깨 관절에서 생길 수 있는 여러 질환에 대해 알아보고 질환별 보존적 치료 방법의 종류와 어깨 관절 수술이 바로 필요한 경우, 미뤄도 되는 경우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