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가 시원하게 내리더니 늦더위가 가고 기온이 훅 떨어졌다. 유난히 짧은 가을이 아쉬워지는 이때부터는 계절성 우울증이 시작되는 시기다. 가을 겨울에 흔히 생기는 계절성 우울증은 일조량이 줄어들면서 세로토닌 호르몬이 감소하는 등 호르몬 변화의 영향이 크다. 여성, 특히 갱년기 전후 중년 여성들에게서 계절성 우울증이 많이 발병하는데, 여성 호르몬이 줄어들면서 몸 여기저기가 아프기 시작하고 나이 드는 것이 실감 나는 때라, 낙엽이 지는 이 시기에 우울감도 더 커지는 것이다.
갱년기 증상은 안면홍조와 함께 피로감, 불안감, 우울, 기억력 장애, 수면 장애를 동반하기 쉽다. 이 밖에도 비뇨생식기계의 위축에 따른 질 건조감, 성교통, 반복적인 질 감염과 요로계 감염으로 인한 질염, 방광염, 배뇨통, 요실금 등의 증상, 근육통과 관절통의 발병 확률이 높아지고,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도 주의해야 한다.
이 중에서도 소변보는 횟수가 늘어나는 요즘, 소변 때마다 따가운 통증이나 피가 비치는 배뇨통은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질환이다. 질염이나 배뇨통의 원인균을 확인하는 PCR 검사에서 특별한 이상이 확인되지 않았다면, 배뇨통의 원인이 갱년기 질 건조증일 가능성이 크다. 노화에 따라 여성호르몬이 줄어들면서 질 내부의 수분이 줄어들고 건조해져서, 배뇨통도 발생하는 것이다. 갱년기 질 건조증은 치료를 제때 하지 않으면, 통증이 심한 위축성 질염으로 악화돼 소변 때마다 통증과 출혈이 발생하고, 성교통이 생길 수 있다. 성교통은 통증 때문에 부부 관계를 기피하게 만들고, 성욕저하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면 질 건조증은 어떻게 치료할까? 여성호르몬 검사 후, 여성호르몬 수치가 폐경으로 나온다면 여성호르몬을 보충해 주는 것이 우선이다. 이 밖에도 출산 후 질 근육과 골반 근육이 손상됐을 때, 질 건조 및 질 이완 증상이 함께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질 건조증과 함께 요실금도 시작됐다면 TOT수술이나 일명 이쁜이수술이라 불리는 같은 질 축소성형도 근본치료 방법에 해당된다. 이미 요실금 증상도 동반된 상태라면 질 축소성형 같은 여성성형으로 요실금과 질 이완증, 질 건조증의 치료 효과를 동시에 볼 수 있는 것이다.
수술에 대한 부담감이 큰 환자라면, 비수술적 치료 방법인 질 전용 레이저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본원에서 치료에 이용하는 베스타 레이저는 질 내부에 레이저를 360도로 조사해 콜라겐 및 점막 재생을 촉진함으로써, 마취와 절개 없이 질 내부의 탄력 증진을 도와준다. 호르몬 보충요법으로 질 건조증을 치료하면서 질 레이저 시술도 받으면, 질 내부 조직의 수분 및 탄력을 건강하게 유지하게 해줌으로써 치료 효과를 더 오래 유지하고 요실금과 질염 재발 예방도 도와주는 것이다.
질 이완증과 질 건조증을 동반하는 갱년기 요실금 증상은 생활의 불편이 피부로 와닿는 질환이다. 소변량이 많아지는 겨울철에는 화장실을 자주 가야 해서 불편하고, 여름철에는 세균 감염에 취약해서 각종 염증성 질환을 앓기 쉽다. 지구 온난화로 더운 여름철이 길어지고 추위도 더 강해져서, 연중 따뜻한 봄과 시원한 가을은 갈수록 짧아지는 점을 고려하면, 요실금이나 질 건조증 등의 갱년기 증상을 치료하는 것은 건강과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좋은 예방법이 될 것이다.
노화에 따른 퇴행성 질환이라서 시간이 갈수록 증상이 악화되는 갱년기 증상들은 제때 치료받는 것도 중요하다. 여성들이 치료받을 의료기관을 선택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비용, 치료후기, 산부인과 여의사 시술 등의 조건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 신중하게 결정하더라도, 치료를 너무 미루는 것은 좋지 않다.
질 건조증과 요실금 등의 증상은 질 축소수술 같은 여성성형과 질 레이저 시술로 제때 치료하고, 충분한 수분 섭취와 건강한 식생활, 규칙적인 근력운동과 유산소 운동 등으로 꾸준히 관리해준다면, 갱년기 이후 각종 부인과 질병 예방 및 노화의 속도를 관리하는 안티에이징 건강 관리에도 유리할 것이다.
* 본 칼럼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여성성형, 여성성병, 여성암검진, 임신, 피임, 성인백신 등 미혼여성에게 필요한 건강정보 제공, 최신 이슈가 되는 건강문제(예. 코로나 19 백신관련)에 대한 궁금증 및 대처방향을 안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