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에 따른, 에크모 치료가 필요한 위중 환자의 증가세에 대하여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흉부외과학회는 코로나19의 4차 유행 후, 에크모를 필요로 하는 중환자의 수가 급속하게 늘고 있으며, 2020년 9월 코로나19 에크모 자체 집계를 시작한 이후 현재 가장 많은 수의 환자인 37명의 환자가 현재 에크모를 이용하여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에크모 치료는 기존 투약이나 인공호흡기로 치료가 어렵다고 판단할 때 사용하는 장비다. 현재 에크모 환자 증가 상황은 심각하며, 이에 대한 의료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2주 정도 뒤 더 문제"
흉부외과학회 김웅한 이사장은 “코로나 4차 유행 상황에서 에크모 시행 환자의 증가세는 매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과거의 통계 기록을 살펴보면 코로나19 유행 주기보다 2주 정도 늦게 에크모 환자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현재 이미 역대 최고 수의 환자가 코로나19로 에크모 치료를 하고 있으며 그 추세도 증가세에 있다”고 말했다.
또한 코로나19 환자가 지속적으로 1500명 이상 나오고 있기 때문에 에크모 환자 수도 최고점에 도달했다고 볼 수는 없다고 분석했다. 향후 환자 증가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또한, 작년에는 주로 노년층에 대한 에크모 적용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그 양상이 바뀌어, 젊은 환자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김웅한 이사장은 “코로나19가 가벼운 질환이 아니라는 방증”이라며 “경각심이 필요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확진자 많은 지역 에크모 부족 대책 필요
흉부외과에서 제공한 통계에 따르면 실제 코로나19 에크모 적용 환자는 지속적 증가 추세에 있다. 특히, 최근 지역 발생이 많은 서울 경기 지방에서 30건에 가까운 에크모 치료를 하고 있다. 작년 58대의 정부 지원으로 에크모 장비는 현재 전국에 400대 가까이 공급되어 있고, 흉부외과 호흡기 내과, 중환자 의학과 등의 의료 인력과 220명의 체외순환 업무를 하는 전문 인력이 있다. 현재 흉부외과 치료에는 90대 이상의 에크모가 매일 사용되며, 코로나19 감염이 많은 지역의 에크모 장비의 부족이 보고 되고 있어 이에 따른 조치가 필요할 것이라고 학회측은 밝혔다.
이에 대하여 2020년 대구 경북지역 COVID19 발생 시 에크모 치료를 담당하였던 대구 가톨릭 대학의 김재범 교수는 “여러 차례 지적했듯이 대규모 지역 발생에 대하여 미리 대비를 해야 한다”며 “이미 경기 지역의 일부에서는 에크모 수용의 포화를 지났을 수도 있다. 이에 인력 배치, 컨트롤 타워, 환자 시스템의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