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 후 무릎·허리 지끈… 뼈·관절에 어떤 변화가?

입력 2018.12.21 07:00
김장 담그는 손
김장 후 무릎 통증이 지속되면 무릎연골연화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김장 시즌이 끝나가는 요즘 '김장후유증'에 시달리는 주부가 많다. 주로 허리, 무릎 통증을 호소하는데 증상이 지속되면 원인을 찾아보고 치료받는 게 안전하다.

가장 흔한 것은 허리 통증이다. 무거운 배추를 한꺼번에 들어 올리거나 잘못된 자세로 오랜 시간 바닥에 앉아 있는 행동은 모두 허리에 자극을 가한다. 특히 앉아 있을 때는 서 있을 때와 비교해 허리에 2~3배의 하중이 더 가해진다. 딱딱한 바닥에 앉을수록, 허리가 앞으로 구부정하게 구부러질수록 허리 부담이 가중된다. 안양국제나은병원 정병주 원장은 “김장 시 갑작스럽게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옮기는 동작은 평소 허리 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같은 척추질환 환자의 증상을 악화할 수 있다"며 "김장 후 허리 주변 관절이 붓고 아프거나 자고 일어났을 때 뻣뻣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되면 참지 말고 병원을 찾아 검사받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김장 후 무릎에 흔히 나타나는 질환은 무릎연골연화증이다. 무릎연골연화증은 무릎 슬개골 아래 연골이 닳는 것이다. 무릎 앞부분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바르지 않은 자세를 오래 유지했을 때 생긴다. 안양국제나은병원 민경보 원장은 "무거운 배추를 옮기거나 같은 자세로 오래 앉아 있는 동작은 무릎에도 무리를 준다"며 "무릎연골연화증 환자는 연골 표면이 하얗게 일어나고 통증이 심하며, 지속되면 퇴행성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계단이나 비탈길을 오를 때 증상이 통증이 심해지고, 무릎 앞쪽에서부터 통증이 느껴진다. 통증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소염제, 재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그래도 낫지 않으면 연골주사나 인대강화주사를 고려한다.


�섎즺怨� �댁뒪 �ъ뒪耳��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