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노인의 비타민D 결핍이 심각하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비타민 D는 노년 건강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균형 있는 영양소 섭취와 거주환경의 채광시설, 그리고 자연광 활동을 통해 섭취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 가정의학과 김무영 과장 연구팀은 2015년 한 해 동안 서울시 거점 공공병원 노인병 클리닉에 입원한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 167명에 대한 비타민D 검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요양시설 거주 노인들은 33명 모두 비타민D 결핍상태에 있었으며 이 중 29명(87.9%)이 중증 비타민D 결핍을 보였다. 단순 수치를 비교해보니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중증 비타민D 결핍이 45.5%로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절반 수준이었다. 그러나 로지스틱 회기분석 방식으로 주변 영향을 배제한 중중 비타민D 결핍의 위험도를 파악해보니, 지역사회 거주자에 비해 노인요양시설 거주자가 8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D는 혈중 25-OHD 30 ng/mL 이상을 ‘충분’, 30 ~ 20 ng/mL 사이를 ‘부족’, 20 ng/mL 미만을 ‘결핍’, 10 ng/mL 미만을 ‘중증 결핍’으로 정의한다.
이번 실험은 노인 환자 16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노인요양시설 거주 노인은 33명, 지역사회 거주 노인은 134명으로 실험에 참여한 전체 노인환자 중 130명(77.9%)이 25-OHD 20ng/mL 미만의 비타민D 결핍 상태를 보였고 이중 90명의 노인 환자에게서 25-OHD 10ng/mL 미만의 중증 비타민D 결핍 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서울의료원 가정의학과 김무영 과장은 “노인들의 비타민 D 수치는 그들의 생활환경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라며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저하된 취약 노인들이 모여 있는 노인요양시설의 생활환경에 대한 각별한 관심과 개선책 마련이 시급함과 동시에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우리나라 고령인구에 대해 적절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사회적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