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방 가라사대 양의학적 아토피피부염 치료는 약물치료가 전부다. 약물치료는 병을 완치시키기보다 증상을 개선하는 대증(對症)요법이다. 염증억제제인 스테로이드제제, 가려움증을 줄이는 항히스타민제, 2차 세균감염을 막는 항생제 등이 대표적이다. 최근에는 비스테로이드성 바르는 면역조절제를 사용해 스테로이드 부작용에 대한 걱정없이 치료받을 수 있는 방법이 나왔다.
양방에는 어떤 치료법이 있나?
스테로이드제 : 성분과 농도에 따라 다양한 약품이 있다. 약효가 빠르고 확실하지만 과장되게 알려진 부작용 때문에 환자들이 사용을 주저한다. 하지만 부작용은 사용방법에 따라 정도가 다양하다. 그래도 불안하다면 먹는 약보다 연고나 로션 등 바르는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는다. 약은 증상이 있거나 심할 때만 바르면 좋지만 가급적이면 오전에 한 번만 사용하면서 단계적으로 양을 줄인다. 대표적인 약품은 락티케어, 아드반탄, 리도멕스, 더마톱 등이 있다. 질환의 종류에 따라 투여기간과 용량이 다르므로 아토피피부염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를 쓸 때는 경험이 많은 전문가에게 의뢰한다.
칼시네우린 억제제 : 비스테로이드성 약물로 스테로이드 부작용 없이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을 개선하는 효과가 뛰어나 최근 스테로이드 대체약물로 각광 받고 있다. 면역억제제로 연고가 나와 있고, 비교적 안전해 얼굴에 증상이 있을 때 많이 권한다. 그러나 발암 가능성이 있어 2세 미만 영아는 사용하지 않는다. 대표적인 약은 프로토픽과 엘리델이다.
Tip 약물치료 외에 인터페론감마주사, 고용량 자외선치료, 면역글로불린주사, 면역억제제 등이 있으나 이런 치료는 기본적인 약물치료를 제대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조절이 되지 않는 극소수 환자에게만 쓴다.
>> 한방 가라사대 한방에도 아토피피부염을 완치하고 재발을 막을 수 있는 치료법은 없다. 아토피피부염은 체내 전체적인 균형을 바로잡아야 해결할 수 있다. 때문에 각 개인의 체질적 균형을 바로잡고 인체가 갖고 있는 정기를 회복시키는 데 주안점을 둔다.
한방에는 어떤 치료법이 있나?
한약 비위를 보하고 보혈 보진(진액을 보함)할 수 있는 약을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고, 피부의 방어 기능을 회복할 수 있게 돕는다. 폐나 대장을 다스려 진액을 보하는 치료를 받으면 아토피 피부염 증상뿐만 아니라 기침이나 열 등 다른 증상도 좋아진다. 바르는 한약 피부가 붉고 가려우며 진물이 나는 등 급성기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는 피부의 열과 습한 기운을 없애는 약을 직접 바른다.
Solution 급성기, 중증에는 스테로이드가 좋고 장기적으로는 한약치료 아토피피부염에 대한 치료법은 한방·양방 모두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는데, 이유는 아토피의 원인이 사람마다 다르고 다양하기 때문이다. 피부에 진물이나고 통증이 심할 때에는 일단 스테로이드를 바르면 빨리 낫는다. 한방치료는 치료효과가 나타나려면 시간이 한 달 정도 걸리므로 증상이 너무 심해 아무것도 할 수 없을 정도면 무조건 양방치료를 우선적으로 받는다. 병의 중하고 경한 정도에 따라서 다르다. 한방치료는 중증 아토피피부염보다 경증인 경우 효과가 더 좋고, 중증환자는 양방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취재 헬스조선 편집팀
사진 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한방 도움말 김남선(영동한의원 원장)
양방 도움말 조유숙(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 이상일(삼성서울병원 소아과 교수)
참고서적 《양한방똑똑한병원이용》(전나무숲), 《대한민국한·양방건강보감》(김영사)
저작권자 ⓒ 헬스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