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형간염 항체율 서울 강남권 20%에 불과

입력 2010.02.18 09:10   수정 2010.03.10 10:27

흔히 ‘후진국병’이라 불리는 A형 간염의 항체 보유율이 젊은층일수록, 지방보다는 서울일수록 낮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유병철·백승운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이 건강의학센터를 방문한 250명의 검진자를 대상으로 A형 간염 항체 보유율을 조사한 결과, 국내 전 지역에 걸쳐 ▲20대 이하에서, ▲지방보다는 서울에서 ▲서울중에서도 강남권에서 항체 보유율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20대는 항체율 2%, 서울 강남권은 20%에 불과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 건강의학센터를 방문한 건강검진자 중 20~69세까지 각 연령층별로 50명씩 무작위로 250명을 선정하여 A형간염 항체 양성률에 대한 연구를 시행했다. 그 결과 A형 간염 항체 양성률은 20대는 2%, 30대는 72%, 40대 이상에서는 92~100%로 조사됐다. 남녀 간 차이는 없었으며 A형 간염 항체 양성률을 서울과 그 외 지역으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40대 이상에서는 모두 약 95%로 높게 나타났으나 20~30대에서는 서울이  25%, 지방이 55% 정도로 큰 차이를 보였다.

서울 내에서는 ▲강남지역(강남구·송파구·서초구)의 20~30대 항체 양성율이 약 20%로 비강남권 20~30대가 약 42%보다 낮았다. 이는 지방보다 서울이, 서울 내에서는 강남지역이 더 나은 사회경제 수준에 비례하여 어릴 때부터 깨끗한 위생환경에서 자라나 A형 간염에 상대적으로 덜 노출됐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반면에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지역에 구분없이 A형 간염 항체 양성률이 95%대로 조사됐다.

최근 20~30대의 A형 간염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에 대해 유병철·백승운 교수팀은 “어렸을 때부터 깨끗한 환경에서 자라나 A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은 세대들이 성인이 됐기 때문이라며 A형 간염의 예방접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성인기에 감염되면 70%는 증세 심각해

A형 간염은 오염된 식수나 음식을 통해 집단적으로 발생하거나 환자와의 접촉을 발생하는 것이 가장 흔하다. 잠복기는 15~50일 정도이며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불현성 감염과 증상이 발생하는 현성 감염으로 나눌 수 있다.

20대 이상에서 주로 나타나는 현성 감염은 갑작스러운 발열, 근육통, 오심과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한 후 황달과 피로감 등의 급성 간질환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며, 급성신부전, 담낭염, 췌장염, 혈관염 등이 합병되거나 전격성 간염과 사망에 이르는 등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가 필요하다.

급성 A형 간염은 전염성은 강하나 만성화하지 않으며 치료 경과와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치료는 대부분 휴식, 영양공급 등의 대증치료를 하게 되며, 드물게 전격성 간염이 발생하면 간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급성 A형 간염에서 전격성 간염이 발생할 확률은 0.14~0.35% 정도이며, 전격성 간염이 발생한 경우에도 사망률이 0.14%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

A형 간염이 무서운 이유는 영유아기에 감염됐을 때는 특별한 증상 없이 지나가며 항체가 만들어지나, 성인에게 발생할 경우 심각한 상태로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아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으며, 6세 이하에서 감염되면 약 70%에서 가벼운 비특이적 증상이나 불현성 감염을 보이지만 반대로 성인에서 감염되면 약 70%에서 황달을 포함한 보다 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실제로 삼성서울병원에서 1994년 개원 이후 2008년 말까지 시행한 총 814건의 간이식 수술 중에서 4건이 A형 간염에 의한 간부전이 원인이었으며, 모두 30대 후반과 40대 초반으로 최근 3년 내에 시행됐다.

백승운 삼성서울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이전과 달리 A형 간염의 발생 연령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로 변하고 있으며 현재 A형 간염 항체를 보유하지 않은 20~30대가 나이가 더 들어서 A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황달 등 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심할 경우 전격성 간염이 발생하거나 간이식까지 받아야하는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A형 간염 예방 접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고령이면서 A형 간염 항체가 없는 사람, 만성 간질환 환자이면서 20~40대에 있는 환자들은 최우선적으로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좋다고 권유한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