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운대백병원이 지난 18일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주관한 ‘2024년 서비스로봇 실증사업’ 최종 평가에서 최고 등급을 받았다.
해운대백병원은 지난해 7월부터 ‘로봇 통합관제시스템을 이용한 병원 내 층간 연계 동행 안내 실증’ 과제를 수행하며 안내로봇 세 대를 도입했다. 로봇은 ▲첫 방문 환자 동행 ▲야간 약국 동행 ▲암환자 검사 동행 등 세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운영되며 주야간 환경에 맞춰 기능을 유연하게 전환함으로써 서비스 효율성을 높였다.
이번 최종 평가에서는 단순한 로봇 운용을 넘어 안내로봇의 새로운 활용 방식을 제시하고 병원 환경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과제 수행 전반에 걸쳐 목표 대비 뛰어난 실적을 달성했으며 고령 환자 등 다양한 사용자를 고려한 직관적인 화면 구성과 디자인 개선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점도 우수 사례로 주목받았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 점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사업을 총괄한 조현진 서비스혁신센터장은 “병원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로봇 구현을 위해 고령 환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고 프로세스를 간소화 했다”며 “앞으로도 내원객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활용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운대백병원은 앞으로도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 환자 중심의 스마트병원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해운대백병원은 지난해 7월부터 ‘로봇 통합관제시스템을 이용한 병원 내 층간 연계 동행 안내 실증’ 과제를 수행하며 안내로봇 세 대를 도입했다. 로봇은 ▲첫 방문 환자 동행 ▲야간 약국 동행 ▲암환자 검사 동행 등 세 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운영되며 주야간 환경에 맞춰 기능을 유연하게 전환함으로써 서비스 효율성을 높였다.
이번 최종 평가에서는 단순한 로봇 운용을 넘어 안내로봇의 새로운 활용 방식을 제시하고 병원 환경에 적합한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한 점이 높이 평가됐다. 과제 수행 전반에 걸쳐 목표 대비 뛰어난 실적을 달성했으며 고령 환자 등 다양한 사용자를 고려한 직관적인 화면 구성과 디자인 개선을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킨 점도 우수 사례로 주목받았다. 환자와 보호자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 점도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사업을 총괄한 조현진 서비스혁신센터장은 “병원 환경에 최적화된 서비스로봇 구현을 위해 고령 환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하고 프로세스를 간소화 했다”며 “앞으로도 내원객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활용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해운대백병원은 앞으로도 디지털 헬스케어 기반 환자 중심의 스마트병원 구축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