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흡연, 음주, 신체활동 부족이 한국 남성 노인의 암 발생 위험을 크게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의정부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강서영 교수, 을지대 의대 본과 2학년 최희준 학생 연구팀은 흡연, 음주, 신체활동 부족이 65세 이상 한국인 남성의 암 발병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2008~2009년 65세 이상 남성 6만475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했다.
이 기간, 총 6만4756명 중 20%가량인 1만3130명이 암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2년마다의 국가검진에서 흡연, 음주, 신체 활동 부족에 해당하는 경우를 각각 1점으로 8년간 총 4회 평가된 건강하지 않은 생활 습관 정도를 0~12점까지 점수화했다. 그런 다음 기저질환 등 암 발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보정했다.
그 결과, 가장 건강한 생활 습관을 보인 0~2점에 비해 3~5점군의 암 발생 위험도는 10%, 6~8점군은 54%, 9~12점은 72%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저자 강서영 교수는 “한국의 고령화 속도를 보면 노인 암 발생률은 점점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연구 결과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지녀야 한다는 경각심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종양학 분야 국제 학술지 ‘암(Cancers)’에 최근 게재됐다.
의정부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강서영 교수, 을지대 의대 본과 2학년 최희준 학생 연구팀은 흡연, 음주, 신체활동 부족이 65세 이상 한국인 남성의 암 발병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2008~2009년 65세 이상 남성 6만4756명을 8년간 추적 관찰했다.
이 기간, 총 6만4756명 중 20%가량인 1만3130명이 암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2년마다의 국가검진에서 흡연, 음주, 신체 활동 부족에 해당하는 경우를 각각 1점으로 8년간 총 4회 평가된 건강하지 않은 생활 습관 정도를 0~12점까지 점수화했다. 그런 다음 기저질환 등 암 발병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보정했다.
그 결과, 가장 건강한 생활 습관을 보인 0~2점에 비해 3~5점군의 암 발생 위험도는 10%, 6~8점군은 54%, 9~12점은 72% 각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저자 강서영 교수는 “한국의 고령화 속도를 보면 노인 암 발생률은 점점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연구 결과가 건강한 생활 습관을 지녀야 한다는 경각심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종양학 분야 국제 학술지 ‘암(Cancers)’에 최근 게재됐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