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지켐생명과학은 11일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신규 면역조절제 ‘1,2-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에 대한 물질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엔지켐생명과학이 이번에 특허를 취득한 1,2-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IL-4, IL-6 등)과 염증세포의 이동에 관여하는 케모카인(CXCL8 등)의 과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다.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감염, 급성·만성 염증성 폐질환, 폐렴,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질환, 암 등 다양한 면역질환의 예방·치료에 활용 가능하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이번 미국 특허등록으로 ‘1,2-디아실글리세롤 신규 면역조절물질’에 대해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인도에서의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엔지켐생명과학 관계자는 “특허 취득은 당사가 지속적으로 면역분야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을 위해 신규물질발굴과 효능연구를 통해 거둔 성과다”고 말했다.
한편, 면역질환은 주로 면역기능의 비정상적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 현재는 면역억제제로 치료하고 있으나, 면역억제제는 전신 면역력을 저하시켜 다른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때문에 면역조절 물질을 통해 면역세포를 적절히 자극하고 생체면역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방어력을 높이고 면역 과활성으로 인한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엔지켐생명과학이 이번에 특허를 취득한 1,2-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은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사이토카인(IL-4, IL-6 등)과 염증세포의 이동에 관여하는 케모카인(CXCL8 등)의 과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물질이다.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감염, 급성·만성 염증성 폐질환, 폐렴, 자가면역질환, 알레르기 질환, 암 등 다양한 면역질환의 예방·치료에 활용 가능하다.
엔지켐생명과학은 이번 미국 특허등록으로 ‘1,2-디아실글리세롤 신규 면역조절물질’에 대해 한국, 미국, 유럽, 일본, 중국, 인도에서의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엔지켐생명과학 관계자는 “특허 취득은 당사가 지속적으로 면역분야 신약 파이프라인 확장을 위해 신규물질발굴과 효능연구를 통해 거둔 성과다”고 말했다.
한편, 면역질환은 주로 면역기능의 비정상적 반응으로 인해 발생한다. 현재는 면역억제제로 치료하고 있으나, 면역억제제는 전신 면역력을 저하시켜 다른 건강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때문에 면역조절 물질을 통해 면역세포를 적절히 자극하고 생체면역기능을 조절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방어력을 높이고 면역 과활성으로 인한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