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 개발 사업의 2025년 10대 대표 과제 성과 보고회가 11일에 개최됐다.
이 사업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4개 부처가 공동으로 지원한다. 6년간(2020년~2025년) 총 1조 2000억 원을 투입해 의료기기 기술개발부터 임상·인허가, 제품화에 이르는 전 주기를 지원하는 대형 R&D 사업이다.
성과보고회는 지원받은 연구과제 중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과제들을 표창하고, 주요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로 3회를 맞았다.
올해 선정된 10대 대표 과제는 3대 핵심 지표(▲연구개발 수행의 적절성 ▲기술·의료 분야의 파급효과 ▲사회·경제 분야의 파급효과)를 기준으로, 46개 기업에서 제출한 성과 중 혁신성과 성과 창출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됐다(▽하단 참조).
이 사업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4개 부처가 공동으로 지원한다. 6년간(2020년~2025년) 총 1조 2000억 원을 투입해 의료기기 기술개발부터 임상·인허가, 제품화에 이르는 전 주기를 지원하는 대형 R&D 사업이다.
성과보고회는 지원받은 연구과제 중 우수한 성과를 창출한 과제들을 표창하고, 주요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로 3회를 맞았다.
올해 선정된 10대 대표 과제는 3대 핵심 지표(▲연구개발 수행의 적절성 ▲기술·의료 분야의 파급효과 ▲사회·경제 분야의 파급효과)를 기준으로, 46개 기업에서 제출한 성과 중 혁신성과 성과 창출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됐다(▽하단 참조).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단은 성과보고회 이후, 3월 20일부터 23일까지 열리는 제40회 국제의료기기‧병원설비 전시회(KIMES 2025)에 10대 대표 과제 홍보 부스를 설치하고, 성과 포스터와 장비 등을 전시할 예정이다.
김법민 단장은“이번 10대 대표 과제는 범부처와 사업단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 및 글로벌 시장 선도를 목표로 개발된 혁신적인 의료기기들이 선정됐다”고 했다.
정부는 “의료기기는 단순 제품을 넘어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그 발전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라며 “정부의 R&D 지원이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것과 더불어,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했다.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 2025년 10대 대표과제 >
▲ 췌장암 항암제 전달 효과 향상이 가능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기
▲ 국내 최초 현장진료에 적합한 이동형 토모신세시스* (X선 기반 3D 영상촬영장치)
▲ 세계 최초 심근치료용 최소침습형 카테터
▲ 완전자동화 인공지능 세포분석 암 진단기기
▲ 인공지능 기반 패치형 웨어러블 심장질환 관리시스템
▲ 세계 최초 안과 급속냉각 마취기기
▲ 뇌질환 환자 맞춤형 난치성 시각장애 디지털 치료기기
▲ 경도인지장애 개선을 위한 환자 맞춤형 디지털 치료기기
▲ 세계 최초 녹내장 안압 실시간 모니터링 스마트 콘택트렌즈
▲ 난임치료 성공률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배아분석 디지털 치료기기
김법민 단장은“이번 10대 대표 과제는 범부처와 사업단의 밀접한 협력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 및 글로벌 시장 선도를 목표로 개발된 혁신적인 의료기기들이 선정됐다”고 했다.
정부는 “의료기기는 단순 제품을 넘어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로, 그 발전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라며 “정부의 R&D 지원이 의료기기 산업 발전을 견인하는 것과 더불어,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했다.
<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 2025년 10대 대표과제 >
▲ 췌장암 항암제 전달 효과 향상이 가능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치료기기
▲ 국내 최초 현장진료에 적합한 이동형 토모신세시스* (X선 기반 3D 영상촬영장치)
▲ 세계 최초 심근치료용 최소침습형 카테터
▲ 완전자동화 인공지능 세포분석 암 진단기기
▲ 인공지능 기반 패치형 웨어러블 심장질환 관리시스템
▲ 세계 최초 안과 급속냉각 마취기기
▲ 뇌질환 환자 맞춤형 난치성 시각장애 디지털 치료기기
▲ 경도인지장애 개선을 위한 환자 맞춤형 디지털 치료기기
▲ 세계 최초 녹내장 안압 실시간 모니터링 스마트 콘택트렌즈
▲ 난임치료 성공률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배아분석 디지털 치료기기
이 기사와 관련기사
占쎌쥙�⑴몭�곗��됰챿�숋옙�μ굲 占쎌쥙�ο옙�쇱삕�좑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