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스파르가눔증' 치료

국내 의료진이 뇌종양으로 오인됐던 뇌 기생충 감염을 규명하고 제거 수술에 성공했다. 이 환자는 오염된 연못 물과 야생 날고기, 날생선 등을 먹어 기생충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됐다.
30일, 서울대병원은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순천향대 서울병원 신경외과 박혜란 교수 공동 연구팀이 40대 여성 환자의 뇌에서 ‘스파르가눔증’을 유발하는기생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고 밝혔다.
스파르가눔증은 유충이 체내에 침투해 혈류를 통해 뇌로 이동하며 발생하는 드문 기생충 감염 질환이다. 주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익히지 않은 야생 동물의 고기 또는 생선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감염된 기생충이 뇌로 이동하면 두통과 구토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시간이 흐르면서 발작, 시야 결손, 감각 이상 등 신경학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애초에 이 환자는 처음 서울대병원에 방문했을 때, 뇌종양으로 의심됐다. 환자가 두통, 구토 증세를 보였고, 뇌 MRI(자기공명영상)에서 왼쪽 후두엽에 종양성 병변이 보였기 때문이다. 당시 의료진이 환자에게 수술을 권유했지만, 환자는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자 치료를 거부하고 퇴원했다고 한다.
7개월 뒤, 환자는 극심한 두통과 전신 발작으로 병원을 다시 방문했다. 다시 MRI를 촬영해보자 병변의 위치가 바뀐 것으로 확인됐고 의료진은 뇌척수액 검사 등을 통해 스파르가눔증 항체를 검출했다. 이후 환자의 두개골을 가르는 수술에서 살아있는 기생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고 한다.
백선하 교수는 “스파르가눔증은 매우 드문 기생충 감염 질환이지만 오염된 물이나 제대로 익히지 않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영상 검사에서 병변이 이동하는 경우 기생충 감염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하며 개인위생 수칙을 지키는 것이 예방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례에 대한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저널인 ‘신경학(Neu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30일, 서울대병원은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순천향대 서울병원 신경외과 박혜란 교수 공동 연구팀이 40대 여성 환자의 뇌에서 ‘스파르가눔증’을 유발하는기생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고 밝혔다.
스파르가눔증은 유충이 체내에 침투해 혈류를 통해 뇌로 이동하며 발생하는 드문 기생충 감염 질환이다. 주로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익히지 않은 야생 동물의 고기 또는 생선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감염된 기생충이 뇌로 이동하면 두통과 구토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시간이 흐르면서 발작, 시야 결손, 감각 이상 등 신경학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애초에 이 환자는 처음 서울대병원에 방문했을 때, 뇌종양으로 의심됐다. 환자가 두통, 구토 증세를 보였고, 뇌 MRI(자기공명영상)에서 왼쪽 후두엽에 종양성 병변이 보였기 때문이다. 당시 의료진이 환자에게 수술을 권유했지만, 환자는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자 치료를 거부하고 퇴원했다고 한다.
7개월 뒤, 환자는 극심한 두통과 전신 발작으로 병원을 다시 방문했다. 다시 MRI를 촬영해보자 병변의 위치가 바뀐 것으로 확인됐고 의료진은 뇌척수액 검사 등을 통해 스파르가눔증 항체를 검출했다. 이후 환자의 두개골을 가르는 수술에서 살아있는 기생충을 성공적으로 제거했다고 한다.
백선하 교수는 “스파르가눔증은 매우 드문 기생충 감염 질환이지만 오염된 물이나 제대로 익히지 않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며 “특히 영상 검사에서 병변이 이동하는 경우 기생충 감염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하며 개인위생 수칙을 지키는 것이 예방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이번 사례에 대한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 저널인 ‘신경학(Neurology)’에 최근 게재됐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