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쾌한 음식물 쓰레기 냄새… ‘이 가루’만 넣어둬도 사라진다

입력 2024.04.09 17:28
음식물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냄새를 없애려면 물기를 제거하고, 녹차·커피 가루를 뿌리거나 소주·식초를 뿌리는 게 도움이 된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음식물 쓰레기 냄새가 더 심해졌다. 기온이 높으면 음식물 쓰레기는 더 빨리 부패한다. 불쾌한 음식물 쓰레기 냄새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

◇물기 없애는 게 가장 중요
음식물 쓰레기를 봉투에 담을 때는 우선 물기를 제거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찌개 등은 국물을 미리 따라 버린 뒤 건더기의 물기를 제거한다. 신문지 등을 활용해 건더기의 물기를 짜는 것도 방법이다. 과일 껍질은 베란다 등 햇빛이 잘 드는 곳에 바짝 말린 후 버리면 물기를 없애고 부피도 줄일 수 있다.

◇녹차·커피 가루 넣으면 도움
탈취에 도움이 되는 식품을 넣는 것도 냄새를 줄여준다. 음식물 쓰레기 위에 녹차 가루, 커피 가루 등을 뿌리면 된다. 녹차와 커피에 들어있는 ‘탄닌’ 등 성분이 악취 제거에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식빵을 잘라 음식물 쓰레기 안에 함께 넣어도 악취를 줄일 수 있다. 식빵은 미세한 구멍이 많아 냄새 분자를 잘 포집한다. 이외에도 베이킹 소다를 음식물 쓰레기에 뿌리는 것도 악취를 막는다. 음식물 쓰레기의 산성이 중화돼 부패를 막기 때문이다. 베이킹 소다는 음식물 쓰레기통의 바닥, 벽면에도 함께 뿌려두는 게 좋다.

◇소주·식초 뿌리면 악취 줄일 수 있어
소주를 뿌리는 것도 방법이다. 물과 소주를 3:1 비율로 섞어 음식물 쓰레기 위에 골고루 뿌리면 악취를 제거할 수 있다. 소주의 알코올 성분이 냄새를 중화시키기 때문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올려둔 싱크대 쪽에도 뿌려두면 도움이 된다. 소주가 없다면 식초를 활용해도 좋다. 식초의 아세트산 성분은 세균과 곰팡이를 제거하고 악취를 줄여준다.

◇냉동 보관하면 세균 증식 위험
한편, 음식물 쓰레기 냄새를 피하기 위해 냉동 보관하는 것은 좋지 않다. 음식물 쓰레기 속 세균은 냉동실의 낮은 온도에서도 죽지 않고 증식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식중독을 일으키는 리스테리아균은 영하 20도에서도 사멸하지 않는다. 오히려 냉동실 속 다른 음식 등에 퍼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만약 냉동 보관해야 한다면 먹는 음식과는 떨어져 보관하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이중으로 감싸거나 밀폐용기에 넣어 밀봉하는 게 좋다.
�좎럩瑗띰쭩酉몌옙�⑥삕 �좎럥�삼옙占� �좎떬�낅츩占쎈냲�쇿뜝��占쏙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