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동이 스트레스를 완화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영상으로 확인된 자료는 없었다. 최근 국내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운동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핵의학 영상으로 입증했다.
고려대 안산병원 핵의학과 박기수 교수 연구팀이 핵의학 영상 기법인 18F-FDG PET/CT로 운동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비만 여성군과 정상인에서 스트레스 반응을 관장하는 대뇌 영역인 편도체의 활성도를 18F-FDG PET/CT로 영상화와 정량화했다. 이후 비만 여성군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과 근육 저항운동을 3개월간 진행한 뒤 다시 영상 지표로 확인했다. 비만은 스트레스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 실제로 운동 전 비만 여성군의 편도체가 정상인보다 약 1.5배 활성화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비만 여성군이 정상인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는 것을 영상 지표로 밝힌 것이다. 운동 후 확인해보니, 비만 여성군의 편도체 활성도가 약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편도체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동안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 혈압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박기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운동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세계 최초로 객관적인 영상으로 입증한 연구"라며 "핵의학 영상은 임상 스트레스 평가 지표로 가치가 높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내분비학 프런티어(Frontiers in Endocrinology) 최신 호에 게재됐다.
고려대 안산병원 핵의학과 박기수 교수 연구팀이 핵의학 영상 기법인 18F-FDG PET/CT로 운동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확인했다.
연구팀은 비만 여성군과 정상인에서 스트레스 반응을 관장하는 대뇌 영역인 편도체의 활성도를 18F-FDG PET/CT로 영상화와 정량화했다. 이후 비만 여성군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과 근육 저항운동을 3개월간 진행한 뒤 다시 영상 지표로 확인했다. 비만은 스트레스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 실제로 운동 전 비만 여성군의 편도체가 정상인보다 약 1.5배 활성화돼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비만 여성군이 정상인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는 것을 영상 지표로 밝힌 것이다. 운동 후 확인해보니, 비만 여성군의 편도체 활성도가 약 2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편도체의 활성도가 감소하는 동안 체질량지수(BMI), 허리둘레, 혈압 모두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박기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운동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세계 최초로 객관적인 영상으로 입증한 연구"라며 "핵의학 영상은 임상 스트레스 평가 지표로 가치가 높다"고 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내분비학 프런티어(Frontiers in Endocrinology) 최신 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