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생을 함께 생활한 부부는 노쇠 속도 등이 비슷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원장원 교수팀은 70~84세 부부 315쌍(630명)을 대상으로 노쇠 여부를 진단했다. 총 5가지 ▲보행속도 저하 ▲악력 저하 ▲극도의 피로감 ▲체중 감소 ▲신체활동량 감소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할 경우 노쇠로 판단했다. 그 결과, 남편이 노쇠한 경우 부인이 노쇠할 확률이 남편이 노쇠하지 않은 경우의 4.62배, 부인이 노쇠한 경우 남편이 노쇠할 확률이 부인이 노쇠하지 않은 경우의 3.34배로 더 높았다.
특히 부부간 영향을 가장 많이 주는 요인은 '의도치 않은 체중 감소'였다. 남편에게 체중감소가 나타났을 때 부인에게도 나타날 확률은 8.34배, 반대로 부인에게 체중감소가 나타났을 때 남편에게도 나타날 확률은 4.91배나 됐다.
원장원 교수는 “부부가 처한 공통적인 환경과 질병, 그리고 서로 간의 정서교류 등이 배우자 간의 노쇠 동반 발생 가능성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며 "해당 연구 결과만 보면 남성보다 여성이 노쇠에 더 취약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환경연구·공중보건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IJERPH' 6월호에 게재됐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