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미국 CDC 질병통제예방센터가 한국산 팽이버섯을 먹고 4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밝혔다.
CDC에 따르면 미국에서 판매된 한국산 팽이버섯을 먹고 17개 주에서 36명이 식중독을 일으켰고, 그 중 4명이 숨졌다. 또 임신부 6명이 감염 증세를 일으켜 2명이 유산했다. 이에 추가 공지가 나오기 전까지 한국산 팽이버섯을 먹지 말라고 전했다. 미 FDA는 수입업체에 한국산 팽이버섯을 전량 회수하라는 리콜 명령을 내렸다.
이에 대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우리나라는 팽이버섯을 세척, 가열 조리해 섭취하지만 미국은 샐러드 형태로 바로 먹는 등 식문화가 달라 '리스테리아 식중독'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더불어 그간 정부는 국내 생산, 유통단계에서 채소류에 대해 식중독균 실태를 조사해 세척, 공정관리 등 생산단계에서 위생관리를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리스테리아균은 70도 이상에서 3~10분 가열하면 사멸된다. 따라서 팽이버섯을 충분히 익혀서 먹는 게 식중독 예방에 효과적이다.
리스테리아 식중독 예방 요령
▶ 식육‧생선은 72℃, 가금육 83℃까지 가열‧조리 후 섭취
▶ 교차오염 방지를 위해 조리하지 않는 채소는 섭취 전 깨끗이 세척하고, 조리식품과 비조리식품은 분리‧보관‧취급
▶ 특히 리스테리아는 냉장온도(0~10℃)에서 성장이 가능하므로 냉장고 음식 보관시 보관음식의 침출액이 넘치지 않게 전용 밀폐용기에 넣어 보관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