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지역에 몰려 있어…지역불균형 심각

보건소 금연클리닉은 2005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정부 차원의 국가 금연 지원 사업 중 하나이다. 보건소 내에 금연클리닉을 만들어 전문 인력이 상담을 해주고 니코틴 패치나 껌 등을 무료로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금연하려면 보건소를 찾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정작 금연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알려진 금연 보조제(챔픽스 등)를 처방하는 보건소는 드물다.
전국의 보건소 및 보건지소는 총 1613곳이다. 이 중 금연 보조제를 처방하는 곳은 92곳으로, 5.6%에 불과하다(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특히 이들의 40%는 서울(24곳)과 경기(13곳) 지역에 몰려 있다. 부산, 대구, 인천, 대전, 세종엔 금연 보조제를 처방하는 보건소가 한 곳도 없다<표 참조>. 이 지역에선 금연 보조제를 처방받으려면 병·의원을 찾아야 한다는 뜻이다.
금연 보조제를 병·의원에서 처방받는다고 비용이 더 드는 건 아니다. 다만 보건소는 지역의 공중 보건 향상 및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 군 및 구 단위에 한 개소 이상 설치하도록 돼 있는 기관이다. 지역보건법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는 지역 주민의 건강 상태에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안을 마련해야 할 책임이 있다. 지난해 서울시는 서울시 내 모든 보건소가 금연 치료를 시행하도록 의무화했다. 이처럼 정부 차원에서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금연 치료를 시행할 수 있도록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지역별로 금연 치료에 대한 접근성이 차이나지 않도록 할 필요성을 느낀다”며 “보건소의 공중보건의가 금연 보조제 처방에 관한 교육을 필수로 받는 식의 지침을 마련하거나, 실적이 우수한 공중보건의에게 포상 휴가를 지급하는 등의 대책을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