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양정훈 교수 사진](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7/07/31/2017073101753_0.jpg)
심혈관계 중환자치료 전담전문의 배치와 다학제진료가 심장내과 중환자실 사망률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삼성서울병원 중환자의학과·순환기내과 양정훈 교수 연구팀은 2012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심혈관계질환 원인으로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2431명을 대상으로 사망률을 비교했다. 연구팀에따르면 2013년 3월 이전 전담전문의와 다학제 진료가 없는 '낮은 관리그룹' 616명과 2013년 3월 이후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전담전문의'가 배치되고 다학제 진료를 받은 '높은 관리그룹' 1815명을 나눠 조사했다. 그 결과 낮은 관리그룹일 때 사망률은 8.9%였지만 높은 관리 그룹에서는 4.1%로 낮아졌다. 또한, 최근 심장내과 중환자실에 입원한 '심인성 쇼크' 대상 환자 중 에크모 치료를 받은 환자 사망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낮은 관리그룹일때 54.5%에서 높은 관리 그룹은 22.5%로 상대적 사망위험이 줄었다.
심장내과 중환자실 전담전문의는 일반 중환자실 전담전문의와 달리 기본적인 중환자 전담으로서 지식뿐만 아니라 약물 사용에 불응하는 심인성 쇼크 환자 치료에 기계적 순환보조 장치인 대동맥 내 풍선 펌프, 체외막 산소화장치 (에크모), 좌심실 보조 장치(인공심장) 등 체외순환기계 이해가 특히 요구된다. 이러한 심혈관계 중환자치료 분야는 새롭게 부각되는 전문 영역이다. 연구팀은 높은 관리그룹에서 사망 위험이 낮은 것에 대해 심혈관계 중환자치료에 전담전문의 배치와 다양한 전문가들의 신속한 협진(다학제 진료)으로 심장내과 중환자실 내 가장 큰 사망원인인 심인성 쇼크를 초기부터 적절하게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절한 영양, 약물 농도 유지, 조기 운동치료 등이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양정훈 교수는 "의학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40% 이상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심인성 쇼크 환자는 첫 12시간의 치료가 예후를 결정한다"며 "생존 퇴원이 가능하다면 일반인과 똑같은 예후를 갖기 때문에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양 교수는 "심장학과 중환자의학 지식을 겸비한 심장중환자 전담전문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가장 주목할 만한 연구 주제'로 선정돼 2016년 12월, 심장학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 심장학회지에 게재됏으면, '심인성 쇼크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하위 분석은 국제심장학회지에 게재됐다.
![�좎떬�낅츩占쎈냲�쇿뜝��占쏙옙](https://health.chosun.com/img/2023/healthn.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