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환자 많이 웃으면 치료 효과 크게 높아진다"

입력 2012.05.30 08:06

이대여성암병원 문병인 교수

"유방암 환자가 많이 웃고 활발하게 활동하면 암 치료 결과가 실제로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대여성암전문병원 문병인 유방암·갑상선암센터장〈사진〉은 "유방암은 치료 과정에서 다른 암보다 삶의 질을 많이 떨어뜨린다"며 "삶의 질이 떨어지면 치료 결과도 나빠지기 때문에, 치료 과정에서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해 의료진과 환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유방암이 젊은 여성에게 많이 생기는 데다가, 유방암 재발 방지를 위해 초기라도 대부분의 유방암 환자가 여성호르몬 억제 치료를 하기 때문이라고 문병인 센터장은 설명했다.

문 센터장은 "유방암 환자의 52%는 폐경 전 여성인데, 이들에게 여성호르몬 억제 치료를 하면 조기 폐경 증상이 생기는 등 다른 암 치료에서 생기지 않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유방암의 발병과 진행에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간여한다. 여성호르몬 억제 치료를 하면 유방암 재발 위험은 확실히 줄지만, 골다공증·우울감 등의 폐경기 증상이 나이와 상관 없이 생긴다. 또 관절이나 뼈 통증을 달고 살아야 하며, 삶의 활력을 불어넣는 부신호르몬도 크게 준다. 문 센터장은 "게다가 상당수 환자는 가슴과 주변 근육까지 절제하므로, 심리적인 충격과 함께 상당 기간 팔을 자연스럽게 쓰지 못하는 어려움이 겹쳐서 다른 암 환자보다 더 힘들어 한다"고 말했다.

문병인 센터장은 "유방암 환자는 일부러라도 많이 웃고, 긍정적인 마음을 먹고, 운동을 열심히 해서 여성호르몬을 대체하는 호르몬 분비량을 늘려 삶의 질을 높여야 한다"며 "실제 운동, 웃음, 긍정적 마음가짐, 충분한 수면 등이 유방암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높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유방암 치료 중에 웃거나 활발히 운동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문병인 센터장이 유방암 환자의 치료 장애요인을 조사했더니, 우울감(57%)과 치료비 부담(44%) 등 때문에 긍정적인 삶의 자세를 유지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문 센터장은 "우리 병원은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건강강좌, 노래교실, 웃음치료, 국선도, 희망 텃밭 등을 무료 운영하고 있다"며 "환자가 병원 밖에서도 긍정적으로 지내도록 가족과 사회가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병원은 이달 초 보건복지부 '병원 특성화 연구센터 지원 사업'에 선정돼, 앞으로 유방암 환자의 암세포 대사물질을 분자 단위로 분석해 재발을 예측하는 연구 등을 할 계획"이라며 "유방암 재발을 정확히 예측하게 되면 암이 생기지 않은 유방을 미리 떼어내는 등의 새 치료법이 나올 수 있다"고 말했다.

占쎌쥙�⑴몭�곗��됰챿�숋옙�μ굲 占쎌쥙�ο옙�쇱삕�좑옙 占쎌쥙�э옙�낆릇�좎럥�뀐옙�용쐻占쏙옙�좎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