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심장 멋대로 뛰는 '심방세동' 위험도 높인다

입력 2019.01.21 10:00

연세의대 정보영 교수팀, 43만 명 조사결과 발표

미세먼지
미세먼지가 건강한 사람의 심방세동 위험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헬스조선 DB

올 겨울엔 ‘삼한사미’. ‘삼일 춥고, 사일 미세먼지에 시달린다’는 요즘 날씨를 빗댄 신조어이다. 미세먼지의 유해성이 속속 밝혀지는 가운데, 미세먼지 환경에 장기간 노출되면 심혈관 질환이 발생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정보영·김인수 교수팀은 2009년부터 2013년 사이에 건강검진을 받아 기록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보고 된 18세 이상 남녀 43만 258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대상자들은 건강검진 시행 이전에 심방세동 진단을 받았던 과거 병력은 없었다. 심방세동은 심장이 정상리든으로 뛰지 않고 빠르고 불규칙하게 뛰는 증세를 말한다.

연구팀은 평균 3.9±1.3년 동안 진행 된 연구 기간 동안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증가되면 심방세동 발생 환자 수치가 함께 높아짐을 확인했다. 즉, 미세먼지의 용량에 따라 인체 반응이 영향을 받았다는 용량-반응성 (concentration-responsive) 연관성을 보였다.

모든 연구대상자의 1.3% 가 연구기간 동안 새롭게 심방세동 증세를 진단받았다. 이는 5년간 약 0.9%의 인원이 새롭게 심방세동을 겪게 된다는 세브란스병원의 자체 통계보다 높은 수치다.

미세먼지의 종류에 따른 변화도 발견됐다. PM2.5 로 표기되는 초미세먼지가 10㎍/m3 증가 되면 심방세동 환자도 17.9% 증가했다. 초미세먼지보다 입자가 큰 미세먼지(PM10) 상황에서는 10㎍/m3 증가 시 심방세동 환자가 3.4%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통해 초미세먼지가 미세먼지 보다 심방세동 발생에 더 큰 영향을 주는 인자임이 밝혀졌다.

세부적으로는 남성 그룹이 여성 그룹에 비해 새로운 심방세동 발생 비율이 높았다. 60세 이상의 연구대상자들도 그 아래 연령대보다 심방세동 발생이 많았다.

체질량으로 측정한 비만도 역시 정상수준보다 높을수록 심방세동 발생비율을 높였으며, 심근경색 또는 고혈압 과거력을 지닌 조사대상자들도 미세먼지에 의한 심방세동 질환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미세먼지 외에도, 아황산가스(SO2), 이산화질소(NO2), 일산화탄소(Co) 도 심방세동 발생과 연관성이 존재함을 확인했다. 심방세동과 연관된 여러 동반질환들이 없는 건강한 성인일지라도 이러한 대기상황에 오래 노출되면 유사한 수치를 보였다.

연구를 주도한 정보영 교수는 “대규모 일반 인구 집단에서 장기간 초미세먼지 노출 정도과 심방세동 발생과의 연관성을 처음으로 확인했다”며 “건강한 성인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초미세먼지, 미세먼지를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