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디지털치의학회가 5월11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유광사홀에서 'Breakthroughs in digital dentistry, then, now and forever디지털치의학의 오늘과 미래로의 도약'을 대주제로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다.
-
- 대한디지털치의학회 임원진이 학술대회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대한치과의사협회 보수교육 4점, 대한치과위생사협회 보수교육 2점이 부여되는 이번 학술대회는 디지털 치의학에 대한 임상 강의뿐 아니라 인공지능(AI)과 디지털 치의학 분야에서 아직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디지털 데이터의 법률적인 사항도 다룰 예정이다.치과위생사 세션에서는 디지털 장비 운영, 구강스캔 팁, 3D 진단데이터 관리에 대한 강의를 펼친다.
-
- (왼쪽부터)대한디지털치의학회 심연수 치과위생사분과 이사, 배아란 학술이사, 이양진 회장, 김선재 총무이사, 방주혁 공보이사.
첫 세션에서는 허민석 교수(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영상치의학교실)가 인공지능의 기본 개념, 발전 상황, 응용 방향에 대해 강의한다. 장근영 원장(서울하이안치과)은 환자의 다양한 디지털 개인 정보와 관련된 법률적 사항에 관해 기존 사례를 바탕으로 디지털의 법률적 쟁점, 데이터 보안 등을 짚어준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Chaimongkon Peampring 교수(태국 Prince of Songkla University)가 디지털을 활용한 전악 재건 수복의 과정에 대해 온라인 VOD 강의를 펼친다. 디지털 진단 및 치료계획 수립, 임시수복물과 최종 수복물 제작, 유지 관리에서 디지털 접근 방식을 소개하며, 사전 질문에 대한 Q&A 시간도 마련한다.
서상진 원장(예인치과)은 전악 임플란트 치료 술식과 단계별 발생할 수 있는 오차를 검증하고 보상하는 방법, 디지털 마운팅과 안면 데이터 활용법, iBar 메탈-지르코니아 하이브리드 브리지 등에 대한 최신 트렌드를 소개한다.
-
- 이양진 대한디지털치의학회장
세 번째 세션에서 강재석 원장(예닮치과병원)이 디지털 임상에서 구강스캐너의 사용에 관해 증례를 통해 살펴본다. 배기선 원장(선부부치과교정과)은 최근 교정 분야에서 많이 활용되는 얼라이너를 통한 디지털 투명교정 방법, 3D 프린팅 디지털 브라켓과 NiTi 원형 호선의 조합에 의한 방법을 비교하며 교정치료에서 디지털의 임상 활용 가능성을 짚어본다.
네 번째 세션에서는 이계형 원장(여수21세기치과교정과)이 3D digital data를 활용하여 virtual articulator를 제작, 이를 이용해 stabilization splint를 디자인하고 출력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송주헌 교수(조선대학교 치과대학)는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안정적인 교합관계를 채득하는 방법과 발전 방향 등을 짚어준다.
-
- 출처:덴탈투데이
치과위생사 세션은 윤신혜 실장(예스미르치과)의 '디지털 치과임상의 첫 번째 구강스캔 팁', 유연주 실장(엘에이치과)의 '디지털 치과장비 어떻게 운영할까?', 김범수 원장(비욘드치과병원)의 '3D 진단데이터의 수집과 정렬(데이터 관리)' 강연으로 구성된다.
점심시간에 열리는 정기총회에서는 학회 1회 인증의 10명에게 인증패를 수여할 예정이다.
-
- 출처:덴탈투데이
이양진 학회장은 "이번 종합학술대회는 새롭게 구성된 집행부에서 치과의사 및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모두에게 유익한 시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준비하였으니 많은 관심과 참석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학회 홈페이지(http://kadd.or.kr)와 DVmall(dvmall.co.kr)에서 4월28일까지 사전등록을 받으며, 궁금한 사항은 카카오톡 채널(대한디지털치의학회), 이메일(kjy9895@hanmail.net), 전화(02-6083-5233)로 문의하면 된다.
-
- 출처:덴탈투데이
2009년 대한컴퓨터수복재건치의학회라는 이름으로 창립되어 2012년 명칭을 변경한 대한디지털치의학회는 부산ㆍ울산ㆍ경남지부를 포함해 회원이 540여명에 달한다. 2017년 하스와 협약을 맺어 매년 추계 학술대회를 공동개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그래피와도 MOU를 체결해 협업하기로 했다.
덴탈투데이
박원진 기자
admin@dt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