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 고독지수가 78점에 해당, 한국인 상당수가 고독감에 시달리고 있다는 진단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임상심리학회는 최근 한국심리학회와 소속 심리학자 317명을 대상으로 '대한민국 고독지수'에 대한 설문을 실시했다. "현재 대한민국은 얼마나 고독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심리학자들이 매긴 점수는 평균 78점이었다. 이들은 한국 사회의 고독감이 증가한 원인으로 개인주의의 심화(62.1%)를 꼽았다. 사회 계층 간 대립 심화(54.6%), 장기화된 경제 불황(48.3%), 사회적 가치관의 혼란(45.4%), 온라인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변화(36.3%)가 뒤를 이었다. 성신여대 심리학과 서수연 교수는 "무한 경쟁과 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히 감소한 대인관계의 상호작용 때문에 타인에 대한 배려보다는 ‘나’를 우선시하는 경향이 생겼다"며 "인간은 고독감을 더 많이 느낄수록 우울 혹은 불안과 같은 부정적 정서가 증가하고, 이를 적절히 해소하지 못할 경우 정신적 문제, 사회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고독감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국가 정책적 대응 방안 마련(61.8%)과 봉사활동 등 이타성, 사회성 프로그램 장려(55.5%)가 꼽혔다. 아주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조선미 교수(한국임상심리학회 부회장)는 "정책적으로는 사회 구조적 문제로 국민들이 느끼는 고독감을 경감시키기 위한 인프라 구축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며, 여기에 개인의 크고 작은 이타주의 실천이 더해져 사회적 연대가 형성될 때 대한민국이 고독감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말했다.
개인은 어떤 노력을 할 수 있을까? 젊은층에 비해 더욱 심각한 고독을 겪는 것으로 알려진 노년층은 끊임없이 움직이는 게 도움이 된다. 움직이지 않으면 오히려 몸이 피로해지고 정신 건강에 좋지 않다. 타인과 정서적인 교류도 꾸준히 해야 한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복지관을 찾는 등 이웃 주민과 수다를 떨거나, 남을 위해 봉사하는 등의 활동을 지속하는 것이 고독감을 떨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