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토픽]

유머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여자친구 손을 입안에 넣었는데, 손이 빠지지 않아 병원을 찾은 남성의 사연이 공개됐다.
지난 24일(현지시각) 중국 온라인 매체 오디티센트럴에 따르면 최근 중국 지린성의 한 병원에서 올린 영상이 화제다. 영상에는 여자친구의 손을 입에 넣은 상태로 응급실에 들어오는 남성의 모습이 담겨있었다. 여성은 “SNS에 올릴 유머 영상을 촬영하려고 했다”며 “내 손이 남자친구의 입에 들어갈 만큼 작은지 확인하기 위해 손을 남자친구 입 안에 넣었다”고 했다. 손을 넣는 것은 성공했지만, 남자친구의 턱 근육이 갑자기 굳어 여성은 손을 빼내지 못했다. 남성은 입을 다물지 못해 계속 침을 흘렸고 얼굴이 빨개진 상태였다. 의료진은 “남성은 턱 근육이 수축해 입을 벌리거나 다물지 못하는 상태였다”며 “근육이완제를 투여하고 특수 구강 개구기를 사용해 턱을 확장했다”고 했다. 이어 “빨리 병원을 찾지 않았다면 턱관절 장애로 이어질 수 있었다”며 “이런 상황에서 억지로 턱을 벌리면 신경이 손상되거나 턱이 탈구 될 수 있다”고 했다.
턱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되면 입이 제대로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 턱 근육 수축은 ▲긴장하거나 ▲크게 하품하고 웃을 때 ▲외상을 입었을 때 ▲장시간 입을 벌릴 때 발생할 수 있다. 한쪽으로 씹는 습관이나 턱을 괴고 이를 가는 것 습관도 턱 근육을 수축시킬 수 있다. 턱 근육 수축이 자주 발생하면 ‘턱관절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질환을 포함하는 용어다.
턱관절 장애 증상으로는 입을 벌릴 때 귀, 뺨, 관자놀이 등에서 통증이 느껴지거나 ‘딱딱’거리는 소리가 난다. 심하면 입을 벌릴 수 없거나 갑자기 입을 다물 수 없게 된다. 턱관절 장애는 어금니 맞물림을 확인하는 교합 검사, 관절 상태나 뼈 조직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방사선 사진, 근육 긴장도를 평가하는 근전도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한다.
턱관절은 치료할 수 있지만 턱관절에서 나는 잡음은 치료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치료의 종류에는 약물 치료, 물리 치료, 교합 장치, 행동 요법, 운동 처방 등이 있다. 물리 치료에는 찜질, 초음파, 레이저 치료 등이 있다. 교합 장치 치료는 턱이 안정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입안에 장치를 끼는 것이다. 약물 치료는 진통 소염제와 근이완제를 처방해 치료한다.
턱관절 장애가 생기면 입을 크게 벌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또 장시간 긴장 상태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치아 사이가 늘 떨어져 있도록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통증이 있는 부위에 따뜻한 찜질을 하는 것도 좋다. 단단하고 질긴 음식은 피해야 한다.
지난 24일(현지시각) 중국 온라인 매체 오디티센트럴에 따르면 최근 중국 지린성의 한 병원에서 올린 영상이 화제다. 영상에는 여자친구의 손을 입에 넣은 상태로 응급실에 들어오는 남성의 모습이 담겨있었다. 여성은 “SNS에 올릴 유머 영상을 촬영하려고 했다”며 “내 손이 남자친구의 입에 들어갈 만큼 작은지 확인하기 위해 손을 남자친구 입 안에 넣었다”고 했다. 손을 넣는 것은 성공했지만, 남자친구의 턱 근육이 갑자기 굳어 여성은 손을 빼내지 못했다. 남성은 입을 다물지 못해 계속 침을 흘렸고 얼굴이 빨개진 상태였다. 의료진은 “남성은 턱 근육이 수축해 입을 벌리거나 다물지 못하는 상태였다”며 “근육이완제를 투여하고 특수 구강 개구기를 사용해 턱을 확장했다”고 했다. 이어 “빨리 병원을 찾지 않았다면 턱관절 장애로 이어질 수 있었다”며 “이런 상황에서 억지로 턱을 벌리면 신경이 손상되거나 턱이 탈구 될 수 있다”고 했다.
턱 근육이 과도하게 수축되면 입이 제대로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 턱 근육 수축은 ▲긴장하거나 ▲크게 하품하고 웃을 때 ▲외상을 입었을 때 ▲장시간 입을 벌릴 때 발생할 수 있다. 한쪽으로 씹는 습관이나 턱을 괴고 이를 가는 것 습관도 턱 근육을 수축시킬 수 있다. 턱 근육 수축이 자주 발생하면 ‘턱관절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질환을 포함하는 용어다.
턱관절 장애 증상으로는 입을 벌릴 때 귀, 뺨, 관자놀이 등에서 통증이 느껴지거나 ‘딱딱’거리는 소리가 난다. 심하면 입을 벌릴 수 없거나 갑자기 입을 다물 수 없게 된다. 턱관절 장애는 어금니 맞물림을 확인하는 교합 검사, 관절 상태나 뼈 조직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방사선 사진, 근육 긴장도를 평가하는 근전도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한다.
턱관절은 치료할 수 있지만 턱관절에서 나는 잡음은 치료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치료의 종류에는 약물 치료, 물리 치료, 교합 장치, 행동 요법, 운동 처방 등이 있다. 물리 치료에는 찜질, 초음파, 레이저 치료 등이 있다. 교합 장치 치료는 턱이 안정된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입안에 장치를 끼는 것이다. 약물 치료는 진통 소염제와 근이완제를 처방해 치료한다.
턱관절 장애가 생기면 입을 크게 벌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또 장시간 긴장 상태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치아 사이가 늘 떨어져 있도록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통증이 있는 부위에 따뜻한 찜질을 하는 것도 좋다. 단단하고 질긴 음식은 피해야 한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