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마 전 아기를 낳은 개그맨 부부 중 남편이 유튜브 채널을 통해 어깨 회전근개 파열 진단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계속 어깨 통증이 있었는데, 그 이유가 힘줄이 파열됐기 때문이더라"며 "많은 사람이 빨리 병원을 가보라고 하더라"라고 말했다. 또한 어깨 치료를 받는 근황을 전하고, 비슷한 증상을 겪는 사람들에게 빠른 병원 진료를 받으라고 당부했다.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4개의 근육 및 힘줄을 일컫는 말이다. 일상생활에서 팔을 들어올리거나 어깨를 돌리는 동작을 할 수 있게 해주고,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이러한 회전근개 힘줄 중에서 하나라도 손상이 되면, 어깨를 들어올리거나 특정 자세로 움직일 때 심한 통증이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밤에 어깨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어 잠을 자기 힘든 경우도 많은데, 회전근개 파열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회전근개 파열 초기에는 가벼운 어깨 통증부터 시작해,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통증 및 운동제한을 넘어서 관절염까지 진행될 수 있어 조기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회전근개 파열이 진단된 경우, 치료법은 파열 정도에 따라 다르다. 회전근개 염증 또는 부분파열과 같은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및 주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해 통증을 비롯한 증상이 좋아질 수 있다. 그러나 완전 파열로 진행하여 파열 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수적이다. 수술은 관절내시경을 통해 파열된 회전근개를 봉합하는 수술법이 대표적이다. 내시경 장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최소 절개를 통해 파열된 회전근개를 봉합하고 주변 염증조직을 제거하여 기존의 수술법에 비하여 상처 및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많은 환자가 겪고 있는 어깨 통증의 주범인 회전근개 파열에서 새로운 수술법인 '리제네텐 수술법'이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새움병원에서도 이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데, 리제네텐 수술법은 기존의 회전근개 봉합술보다 회복 기간이 훨씬 짧은 장점이 있다.
리제네텐 수술법은 콜라겐 기반의 생체유도 임플란트(리제네텐 패치)를 이용해 손상된 회전근개를 직접 봉합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재생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렇게 이식된 콜라겐 패치는 6개월 이내에 채내에서 완전히 흡수돼 회전근개 힘줄의 자연스러운 회복을 도와준다. 또한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수술하기 때문에 수술 시간이 짧고, 상처도 작아 환자의 신체적 부담이 적어 회복기간이 빠르다. 그리고 기존 회전근개 봉합술에 비해 수술 후 보조기 착용 기간이 절반 이상(기존 4주→2주 이내) 줄어들어 수술 후 불편감과 재활 기간이 훨씬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회전근개 파열은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는 질환이지만, 조기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질환이다. 예방을 위해 일상생활이나 운동을 할 때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를 통해 회전근개 파열을 비롯한 어깨 질환을 미리 막는 것이 중요하다.
(*이 칼럼은 새움병원 이승건 원장의 기고입니다.)
회전근개는 어깨 관절을 감싸고 있는 4개의 근육 및 힘줄을 일컫는 말이다. 일상생활에서 팔을 들어올리거나 어깨를 돌리는 동작을 할 수 있게 해주고, 어깨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이러한 회전근개 힘줄 중에서 하나라도 손상이 되면, 어깨를 들어올리거나 특정 자세로 움직일 때 심한 통증이 발생하여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밤에 어깨 통증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어 잠을 자기 힘든 경우도 많은데, 회전근개 파열의 대표적인 증상 중 하나이다. 회전근개 파열 초기에는 가벼운 어깨 통증부터 시작해,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고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통증 및 운동제한을 넘어서 관절염까지 진행될 수 있어 조기에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회전근개 파열이 진단된 경우, 치료법은 파열 정도에 따라 다르다. 회전근개 염증 또는 부분파열과 같은 초기에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및 주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통해 통증을 비롯한 증상이 좋아질 수 있다. 그러나 완전 파열로 진행하여 파열 범위가 넓은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수적이다. 수술은 관절내시경을 통해 파열된 회전근개를 봉합하는 수술법이 대표적이다. 내시경 장비가 통과할 수 있도록 최소 절개를 통해 파열된 회전근개를 봉합하고 주변 염증조직을 제거하여 기존의 수술법에 비하여 상처 및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많은 환자가 겪고 있는 어깨 통증의 주범인 회전근개 파열에서 새로운 수술법인 '리제네텐 수술법'이 나와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새움병원에서도 이 수술을 시행하고 있는데, 리제네텐 수술법은 기존의 회전근개 봉합술보다 회복 기간이 훨씬 짧은 장점이 있다.
리제네텐 수술법은 콜라겐 기반의 생체유도 임플란트(리제네텐 패치)를 이용해 손상된 회전근개를 직접 봉합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재생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렇게 이식된 콜라겐 패치는 6개월 이내에 채내에서 완전히 흡수돼 회전근개 힘줄의 자연스러운 회복을 도와준다. 또한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수술하기 때문에 수술 시간이 짧고, 상처도 작아 환자의 신체적 부담이 적어 회복기간이 빠르다. 그리고 기존 회전근개 봉합술에 비해 수술 후 보조기 착용 기간이 절반 이상(기존 4주→2주 이내) 줄어들어 수술 후 불편감과 재활 기간이 훨씬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회전근개 파열은 일상 생활에 큰 불편을 초래하는 질환이지만, 조기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충분히 회복할 수 있는 질환이다. 예방을 위해 일상생활이나 운동을 할 때 어깨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꾸준한 스트레칭과 근력 강화를 통해 회전근개 파열을 비롯한 어깨 질환을 미리 막는 것이 중요하다.
(*이 칼럼은 새움병원 이승건 원장의 기고입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