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국대병원 외과 윤익진 교수팀(건국대학교 글로컬 산학협력단 황선애·양은열·서수현·박현주·서지영·안유림·백수정 연구원)이 7일 평창 알펜시아에서 열린 2025한국실험동물학회 동계심포지엄에서 우수 포스터상을 받았다. 우수 포스터 발표는 양은열 연구원과 황선애 연구원이 진행했다.
양은열 연구원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종 간 심장이식 후 6개월 이상 생존한 사례를 발표했다. 이는 임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최소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앞으로 인간 대상 이종 심장이식 연구로 발전할 가능성을 높인 성과다.
황선애 연구원은 연구팀이 이종장기이식 임상시험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이를 위한 새로운 면역억제제를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신약을 활용하면 이식 장기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이종이식 임상 승인과 동종이식 면역 거부반응을 줄이는 프로토콜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황선애 연구원은 “우수포스터 수상은 임상 의료진 및 연구진들의 노력이 모여 받은 상인만큼 본격적인 이종이식 임상화를 위해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을 수 있는 이종이식 연구 결과를 내기 위해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께 수상한 양은열 연구원은 “많은 교수님들과 연구진 분들의 업적을 대신해 수상하게 돼 송구스럽다”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장기부족으로 고통 받은 환자 분들에게 희망을 전할 수 있도록 많은 교수님들과 연구진 분들을 도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양은열 연구원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이종 간 심장이식 후 6개월 이상 생존한 사례를 발표했다. 이는 임상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최소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앞으로 인간 대상 이종 심장이식 연구로 발전할 가능성을 높인 성과다.
황선애 연구원은 연구팀이 이종장기이식 임상시험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 중이며 이를 위한 새로운 면역억제제를 개발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신약을 활용하면 이식 장기 생존율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이종이식 임상 승인과 동종이식 면역 거부반응을 줄이는 프로토콜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황선애 연구원은 “우수포스터 수상은 임상 의료진 및 연구진들의 노력이 모여 받은 상인만큼 본격적인 이종이식 임상화를 위해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을 수 있는 이종이식 연구 결과를 내기 위해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함께 수상한 양은열 연구원은 “많은 교수님들과 연구진 분들의 업적을 대신해 수상하게 돼 송구스럽다”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장기부족으로 고통 받은 환자 분들에게 희망을 전할 수 있도록 많은 교수님들과 연구진 분들을 도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