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속 건강]
드라마 중증외상센터는 외과 전문의 백강혁(주지훈)이 유명무실한 중증외상팀을 심폐 소생하기 위해 부임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의학 드라마다. 전장을 누비던 천재 의사 백강혁과 그의 제자 양재원(추영우), 간호사 천장미(하영)를 포함한 중증외상팀 구성원들이 다양한 위급 상황에 대응하며 성장해 나가는 이야기가 전개될 전망이다. 드라마 주 배경인 '중증외상센터'가 실제 하는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중증외상센터는 응급의료센터의 상위개념으로 치명적인 외상을 입은 응급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곳이다. 주로 의식 상태나 혈압, 호흡 등이 비정상적일 정도로 심각하게 다친 환자가 방문한다.
지난 22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한 '2023년 지역사회기반 중증외상조사 통계' 결과에 따르면 2023년 중증외상 환자는 8129명으로 전년(8051명)보다 소폭 증가했다. 중증외상이 발생한 원인을 살펴보면 대부분 운수사고(49.1%)나 추락·미끄러짐(43.8%)으로 발생했는데, 이번 발표에서는 기타 유형 운수사고로 인한 사례가 증가한 점이 눈에 띄었다. 보행자, 차량 등의 운수사고로 중증외상을 입은 환자 수는 감소한 반면, 전동킥보드 등의 개인형 이동장치가 포함된 기타 유형 운수사고로 중증외상을 입은 환자 수는 2016년(34명)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손상 부위는 두부(42.4%), 흉부(32.7%), 하지(13.5%) 순으로 많다. 이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두부 손상의 사례를 살펴보면 두부 손상에는 외상에 의해 일시적인 의식 소실이 발생한 '뇌진탕', 뇌실질에 출혈이 발생한 '뇌좌상', 뇌를 보호하는 두개골에 골절이 발생한 '두개골 골절' 등이 있다. 구체적인 손상 부위와 정도에 따라 심한 두통, 구토, 기억 상실 등의 증상이 발생하며 손상 정도가 심각할 경우 영구적인 장애가 발생하거나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119에 신고해야 한다. 특히 환자가 심정지 상태라면 4분만 지나도 뇌 손상이 오고, 5분이 지나면 사망률이 급격히 올라가므로 구급대원이 도착하기 전에 심폐소생술(CPR)을 하는 게 가장 좋다. 현장에 구급대원이 도착하면 현장 처치 후 이송 병원을 결정하게 되는데 이송 예상 거리가 30km 이상이거나 예상 소요 시간이 1시간 이상일 때에는 헬기 이송 요청도 가능하다. 환자가 외상을 입었을 때 치료로 죽음에 이르는 걸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이 큰 시간을 뜻하는 '골든 아워(golden hour)' 안에 병원에 도착하기 위해서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