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도 관절염 겪는다… 주말에 운동 몰아 하면 위험

입력 2024.12.04 11:42
무릎 통증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축구를 즐기는 고등학생 A(17·서울 용산구)군은 평소처럼 주말에 친구들과 축구를 즐겼다. 다음날 등교가 어려울 정도로 무릎 통증이 심하고, 굽혔다 펴는 것조차 어려워 병원을 찾았다. 젊은 관절염이라고 알려진 '박리성 골연골염'을 진단받았다.

박리성 골연골염은 관절에 반복적인 부하나 강한 충격이 가해질 때, 관절 연골과 그 아래 뼈(연골하 골)가 분리되는 질환이다. 주로 무릎 발생하고, 발목·팔꿈치 등의 관절에서 생기기도 한다. 무릎 연골 질환은 주로 고령층에서 생기는데, 박리성 골연골염은 10~20대 초반의 활동적인 사람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박리성 골연골염으로 내원한 환자 중 10대가 2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10대 남성 환자는 여성의 2.6배 수준이다. 활동적인 청소년기에 갑자기 발생하는 ‘무릎 관절염’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무릎에 반복적이고 강한 충격 주는 운동 안 좋아
아직 박리성 골연골염을 유발하는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러닝·점핑 등 스포츠 활동 중 반복되는 작은 부하나 미세 외상이 깊은 연관이 있다고 알려졌다. 연골하 골에 영양을 공급하는 혈관에 이상이 생겨 괴사가 생기고, 피로 골절이 유발하는 게 주원인으로 추정된다. 관절 연골이 아래 뼈에서 분리되거나, 뼈를 물고 분리되면, 분리된 관절연골이나 연골 편은 관절 내를 떠도는 유리체가 된다. 이 유리체가 무릎 관절 사이에 끼면, 관절을 펴거나 구부리지 못하는 잠김 증상이 나타난다. 또 무릎 관절 마모가 급속하게 진행되는 제3자 마모 현상이 일어나 급격하게 퇴행성관절염으로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관절에 큰 부하를 주는 고강도 스포츠는 박리성 골연골염의 위험이 크다. 예로 파쿠르(건물, 자동차 등을 뛰어넘는 스포츠), 미식축구, 농구, 축구 등이 있다. 강남베드로병원 무릎관절센터 강승백 원장(정형외과 전문의)은 “충분한 스트레칭 없이 갑자기 충격을 주는 행위를 주의해야 한다”며 “착지, 점프, 급격한 방향 전환 동작이 반복되는 운동은 무릎과 발목에 무리를 주기 쉽다”고 했다. 이어 “스키, 스노보드 등 곧 즐길 수 있는 겨울철 스포츠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치 시 이차성 퇴행성 관절염까지 이어져
박리성 골연골염의 이상 증상을 빠르게 인지하고, 초기에 진단·치료를 하는 게 중요하다. 초기에 치료하면 비수술 방법으로도 불편감이나 후유증 없는 회복이 가능하다. 하지만 증상 방치 후 진단이 늦어지면 만성적인 관절 통증, 관절 운동범위 감소, 이차적인 퇴행성 관절염 등 질환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손상된 관절 연골 부분이 회복하지 않은 상태로 활동하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것은 물론 이후 이차성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될 가능성도 커진다. 강승백 원장은 “박리성 골연골염의 경우 병변의 병기에 따라 예후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며 “특히 활동성이 큰 성장기 청소년과 운동선수들의 경우 적절한 조기 진단을 받는 것이 예후를 좋게 하는 가장 안전한 방법”이라고 했다.

특히 ▲무릎이 찌릿한 느낌 ▲슬개골 부위에서 팍 튀는 소리 ▲무릎을 굽혔다 펼 때 뭔가 잠긴 듯한 느낌 등이 지속적으로 든다면 박리성 골연골염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즉시 전문의를 찾아 상담을 받는 것이 좋다.

◇주말에 몰아 하는 운동, 주의해야
박리성 골연골염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도 갑작스러운 고강도 운동을 피해야 한다. 특히 ‘위크엔드워리어(평일에는 운동을 전혀 안 하다가, 주말에 운동을 몰아서 하는 가진 이들을 이르는 말)’ 타입의 운동 패턴은 가급적 삼가는 것이 좋다. 평소 운동하지 않다가 갑작스럽게 운동하는 경우 근력이 부족한 탓에 관절에 부담을 줄 위험이 크다. 특히 축구, 농구 등을 즐긴다면, 1주일에 2~3회 가량의 충분한 근력 강화 운동이 필요하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