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 이식은 간 질환으로 생사를 오가는 환자에게 새 삶을 주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그렇다면 간을 기증한 사람은 어떨까? 건강한 사람이었음에도 간 이식을 해주고 난 후 체력저하나 우울증 등이 생겼다는 사례는 흔하고, 암이 생겨 고통받았다는 경우도 드물지 않게 보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를 보면, 실제로 간 기증자는 일반인보다 암 발생률이 더 높다. 간 기증자의 건강에 대한 논란이 불거지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간 기증자의 암 발생률 논란을 되짚어 봤다.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종만 교수 연구팀은 2002년부터 2018년까지 생체 간 기증자(LLD) 1만2372명을 건강한 일반인과 비교한 결과, 간 기증자는 간암과 갑상선암 발생률이 일반인보다 각각 18.30배, 1.39배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외 유방암, 흑색종, 림프종, 뇌종양, 소화기암 등의 발생률은 일반인과 다르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보면, 기본적으로 생체 간 기증자의 암 진단율은 1.4%(175명)로 일반인 0.8%(1014명)보다 높은 편이다. 그중에서도 간암 발병률은 일반인보다 훨씬 높다. 일반인의 간암 발병률은 0.03%(29명)였으나 간 기증자의 간암 발병률은 0.54%(52명)로 약 18배 높았다. 갑상선암도 간 기증자 발병률은 0.63%(61명), 일반인은 0.45%(442명)로 간 기증자의 1.39배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간 기증자의 특정 암 발병률이 높은 현상의 원인을 정확히 밝힐 수 있는 생물학적 근거는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다만, 두 가지 원인을 추정할 수 있다고 전했다.
삼성서울병원 외과 김종만 교수 연구팀은 2002년부터 2018년까지 생체 간 기증자(LLD) 1만2372명을 건강한 일반인과 비교한 결과, 간 기증자는 간암과 갑상선암 발생률이 일반인보다 각각 18.30배, 1.39배 높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 외 유방암, 흑색종, 림프종, 뇌종양, 소화기암 등의 발생률은 일반인과 다르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보면, 기본적으로 생체 간 기증자의 암 진단율은 1.4%(175명)로 일반인 0.8%(1014명)보다 높은 편이다. 그중에서도 간암 발병률은 일반인보다 훨씬 높다. 일반인의 간암 발병률은 0.03%(29명)였으나 간 기증자의 간암 발병률은 0.54%(52명)로 약 18배 높았다. 갑상선암도 간 기증자 발병률은 0.63%(61명), 일반인은 0.45%(442명)로 간 기증자의 1.39배 높게 나타났다.
연구팀은 간 기증자의 특정 암 발병률이 높은 현상의 원인을 정확히 밝힐 수 있는 생물학적 근거는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다만, 두 가지 원인을 추정할 수 있다고 전했다.
첫 번째는 과도한 진단이다. 우리나라는 선별초음파 검사가 보편화돼 있다보니 잦은 검사에 따라 간암이나 갑상선암이 과진단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갑상선암의 발생률은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편에 속한다.
두 번째는 가족력이다. 생체 간 기증자의 85.9%가 수혜자의 가족이기에 간암이나 갑상선암을 증가시키는 유전성 질환의 가능성이 있다는 게 연구팀의 추측이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간 기증자에 대한 암 검진 프로그램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생체 간 기증자의 장기적인 임상적 후유증을 이해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보여준다"며 "간 기증자에게 간암 또는 갑상선암에 대해 보다 빈번한 암 검진이나 표적 검진을 권장하는 건 시기상조이지만, 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을 준수하도록 강력히 권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후 장기기증이 흔하지 않은 상황에선 기증자에 대한 잠재적 피해와 간 기증 후 암 치료를 받는 데 따른 신체적,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수혜자의 예후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게재됐다.
두 번째는 가족력이다. 생체 간 기증자의 85.9%가 수혜자의 가족이기에 간암이나 갑상선암을 증가시키는 유전성 질환의 가능성이 있다는 게 연구팀의 추측이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간 기증자에 대한 암 검진 프로그램이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생체 간 기증자의 장기적인 임상적 후유증을 이해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보여준다"며 "간 기증자에게 간암 또는 갑상선암에 대해 보다 빈번한 암 검진이나 표적 검진을 권장하는 건 시기상조이지만, 국가 암 검진 프로그램을 준수하도록 강력히 권장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사후 장기기증이 흔하지 않은 상황에선 기증자에 대한 잠재적 피해와 간 기증 후 암 치료를 받는 데 따른 신체적,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수혜자의 예후와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게재됐다.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