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낮 시간대에 과도하게 졸음이 쏟아지거나 불면증이 있는 사람은 녹내장 발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녹내장은 뇌로 연결되는 시신경이 손상돼 시야가 점차 좁아지며 심할 경우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이다.
중국 베이징 후이민 병원과 쓰촨대,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아이슬란드대 연구진은 수면 패턴과 녹내장 발병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에 등록된 약 41만 명을 대상으로 추적 연구를 진행했다. 각자의 수면 패턴은 설문지를 통한 자가보고 데이터를 이용해 수집됐으며 연구진은 그들의 ‘비정상적’ 수면 패턴을 ▲짧거나 긴 수면 시간 ▲불면증 ▲코골이 ▲주간 졸음으로 나눠 분석했다. 연구진은 하루 7~9시간 정도의 수면시간을 정상으로 정의했다. 연구진은 이 자료들을 토대로 수면 패턴과 녹내장 위험과의 연관성을 추정했다.
약 10년간의 추적 연구 결과, 4가지 수면 패턴 중 주간졸음을 자주 겪는 사람일 경우 녹내장 발병 위험이 가장 높았다. 과도한 주간졸림증은 하루 중 깨어 있는 대부분 시간 동안 각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낮 동안의 일상 및 직업 생활 중 기능 저하(주간 기능 저하)가 오는 질환이다. 과도한 주간 졸림증이 있을 때 녹내장 발병 위험이 20%, 불면증의 경우 12% 증가했으며 짧거나 긴 수면 시간은 8%, 코골이는 4% 위험 증가를 보였다.
연구진은 원인을 명확히 알 순 없지만 4가지 수면 패턴이 녹내장 발병의 핵심 요인인 안압과 관련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연구진은 “안압은 사람이 누워 있을 때와 불면증과 같이 수면 호르몬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등의 상황에서 증가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는 만성 수면 문제가 있다면 안과 검사를 받고, 수면 패턴을 바꿔볼 것을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영국의학저널(BMJ Open)’에 최근 게재됐다.
중국 베이징 후이민 병원과 쓰촨대,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아이슬란드대 연구진은 수면 패턴과 녹내장 발병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에 등록된 약 41만 명을 대상으로 추적 연구를 진행했다. 각자의 수면 패턴은 설문지를 통한 자가보고 데이터를 이용해 수집됐으며 연구진은 그들의 ‘비정상적’ 수면 패턴을 ▲짧거나 긴 수면 시간 ▲불면증 ▲코골이 ▲주간 졸음으로 나눠 분석했다. 연구진은 하루 7~9시간 정도의 수면시간을 정상으로 정의했다. 연구진은 이 자료들을 토대로 수면 패턴과 녹내장 위험과의 연관성을 추정했다.
약 10년간의 추적 연구 결과, 4가지 수면 패턴 중 주간졸음을 자주 겪는 사람일 경우 녹내장 발병 위험이 가장 높았다. 과도한 주간졸림증은 하루 중 깨어 있는 대부분 시간 동안 각성을 유지하기 어렵고, 낮 동안의 일상 및 직업 생활 중 기능 저하(주간 기능 저하)가 오는 질환이다. 과도한 주간 졸림증이 있을 때 녹내장 발병 위험이 20%, 불면증의 경우 12% 증가했으며 짧거나 긴 수면 시간은 8%, 코골이는 4% 위험 증가를 보였다.
연구진은 원인을 명확히 알 순 없지만 4가지 수면 패턴이 녹내장 발병의 핵심 요인인 안압과 관련 있다고 추측하고 있다. 연구진은 “안압은 사람이 누워 있을 때와 불면증과 같이 수면 호르몬이 정상 범위를 벗어날 때 등의 상황에서 증가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는 만성 수면 문제가 있다면 안과 검사를 받고, 수면 패턴을 바꿔볼 것을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영국의학저널(BMJ Open)’에 최근 게재됐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