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강은 고려시대 이전부터 한약재로 사용할 만큼 효능이 다양하고, 각종 음식에 사용할 만큼 맛도 좋다. 하지만 생강을 잘못 복용하면 복통, 설사 등의 이상반응이 발생하기도 한다. 생강을 먹을 때 주의할 점을 알아보자.
◇너무 많이 먹으면 복통·설사
적정량의 생강 섭취는 건강을 돕지만, 몸에 좋다고 생강을 너무 많이 먹으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생강은 소화를 돕는 다이스타제, 프로테아제, 트립신, 우레아제 등의 효소를 다량 포함하고 있어, 적절한 양을 먹으면 소화력 증진, 위약분비 촉진,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증상 완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성분들은 위액 분비를 촉진하고 위 점막을 자극하기에 한 번에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하면 복통이나 설사가 생길 수 있다. 생강의 적정 일일 섭취량은 2~3g 정도이다.
또한 생강은 생리활성물질로 알려진 쇼가올, 진저롤, 진저론 등의 함유량이 많아 감기 예방, 혈액 순환 촉진, 면역력 강화 등의 효과가 있지만, 쇼가올 등의 성분은 몸을 따뜻하게 하는 특성이 있어 열 감기 환자가 먹으면 오히려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 평소 몸에 열이 많은 사람도 생강을 많이 먹으면 과도하게 열이 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를 복용하는 사람도 생강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진저롤, 진저론 등의 성분은 혈관을 확장해 혈액순환을 돕기 때문에 약효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혈관이 확장되면서 출혈 위험이 커질 수 있어 치질, 위궤양, 십이지장궤양과 같은 출혈성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라면 생강 섭취는 자제하는 게 좋다.
참고자료=농촌진흥청 '농업기술길잡이-생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