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질환의 전조일 수도

두통은 살면서 한번쯤 겪는 증상이다. 특히 최근 코로나19로 스트레스가 쌓이면서 두통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누구나 겪는 증상이라고 생각해 내버려두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가볍게 여기고 진통제에만 의존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두통 강도가 심하고 지속적으로 나타날 때는 정확한 원인을 찾고 치료해야 한다. 세란병원 신경과 김태우 과장은 “특히 뇌 질환의 증상으로 두통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복해서 발생하는 두통, 질병으로 여겨야
대한두통학회 연구에 따르면 국내 편두통 환자 추정치는 약 830만 명이다. 이는 성인 6명 중 1명 꼴이지만, 실제 병원을 찾는 사람은 적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두통으로 병원을 찾은 사람(두통, 편두통, 기타 두통증후군 포함)은 2015년 188만2503명, 2017년 202만5607명, 2019년 215만5940명으로 집계됐다. 실제 두통을 겪는 환자 수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두통은 크게 특별한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 일차성 두통과 원인 질환으로 발생하는 이차성 두통으로 나눠볼 수 있다.
일차성 두통은 뇌의 바깥을 감싸는 혈관, 말초신경, 근육 등에 의해 생기며 사람들이 흔하게 겪는 긴장성 두통, 편두통, 군발 두통이 이에 해당한다. 이차성 두통은 뇌출혈, 뇌졸중과 같은 뇌 질환이나 내과 질환 등의 원인 질병으로 인해 발생한다.
일차성 두통 중 가장 흔한 두통인 긴장성 두통은 통증 강도가 약하고 좋지 않은 자세, 스트레스, 불안감, 우울감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휴식을 취하면 증상이 완화되기도 한다.
문제는 일상생활을 방해할 정도로 심하고 반복적인 두통이다. 머리가 지끈거리거나 누군가 망치로 머리를 깨는 듯한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구토 같은 소화기 증상이 동반되거나 빛이나 소리에 의해 두통이 더 심해지는 경우다. 이러한 심한 두통을 겪는 날이 일주일 중 2~3일이라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치료해야 한다.
팔다리 마비되는 두통, 최대한 빨리 치료해야
뇌혈관 질환의 전조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이차성 두통의 경우 두통 자체가 위험신호이므로 증상이 나타났을 때 바로 병원에 가야 한다. 뇌질환으로 나타나는 두통은 극심한 통증이 갑자기 발생하거나 두통이 진통제를 복용해도 가라앉지 않고 점차 심해지면서 며칠 이상 지속된다.
두통과 함께 팔다리 마비, 시력 저하, 의식 저하, 경련 등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면 뇌졸중, 뇌출혈, 뇌정맥혈전, 뇌혈관수축 등 응급상황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빠른 시간 내에 병원을 찾아야 한다.
두통 치료는 의사의 문진과 뇌 MRI, CT 등의 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일차성 두통의 경우 대부분 약물 치료나 주사 치료를 시행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편두통의 경우 약물치료를 우선 시행하고, 개선되지 않으면 보톡스 주사요법을 통해 두통 빈도와 강도를 조절하기도 한다.
김태우 과장은 "두통도 치료가 필요한 질환이지만,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시는 사람이 많다"라며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심한 두통은 학업이나 일의 능률을 떨어뜨리고 우울증, 스트레스, 분노와 같은 정신적인 고통도 동반되므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