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C방 중고생·흡연 여성 위험 커
결핵은 기침할 때 침에 섞여 나온 균이 공기 중으로 퍼지면서 전염된다. 그러나 결핵균이 몸에 들어와도 모두 병에 걸리지는 않으며, 인체의 저항력이 떨어져 있을 때 발병한다. 면역억제제나 스테로이드제를 장기간 복용한 사람, 당뇨병 환자와 신부전 투석 환자, 규폐증 환자, 위절제술을 받은 사람 등이 일반적인 고위험군이다.
그런데 최근 국내에서 중고생과 20~24세 여성의 발병이 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결핵 환자 비율은 20~24세에서 가장 높고 이후 점차 감소하다가 45세 이후 다시 증가한다. 전체 결핵 환자 중 남성이 여성보다 1.5배 많으나, 20~24세 발병률은 여성이 남성보다 6%포인트 높다. 강북삼성병원 호흡기내과 송재욱 교수는 "중고생은 PC방 노래방 독서실 등 폐쇄된 공간에서 결핵균에 감염돼 발병하고, 20대 초반 여성은 과도한 다이어트로 인한 면역력 저하 때문에 발병하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흡연도 이 연령대 여성 결핵 증가의 원인이다. 흡연은 결핵의 감염위험을 2.5배 이상 증가시킨다. 송 교수는 "모든 나이대의 여성 흡연율 중 20대 흡연율이 3.6%로 가장 높다"며 "흡연이 젊은 여성의 결핵 증가와 무관하지 않다"고 말했다.
◆노래방은 환기시설 있는 곳 선택해야
기침, 발열, 체중감소, 수면 중 식은 땀과 같은 증상이 2~3주 이상 계속되면 결핵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하다. 고대안암병원 감염내과 손장욱 교수는 "노래방은 환기시설이 있는 곳을 선택하고, 자녀가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PC방에서 시간을 오래 보내지 않게 하라"고 말했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