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만으로 사람의 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전화통화 시 수화기를 통해 들리는 목소리를 통해 그 사람의 모습을 떠올릴 수 있다. 가늘고 얇은 목소리를 내는 사람은 마르거나 보통 체격이고, 두껍고 울리는 듯한 목소리를 내는 사람은 살집이 있는 체격일 것으로 생각하게 된다. 그렇다면 목소리는 성대가 살이 찌는 것에 의해 변하게 되는 것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성대가 살이 쪄서 목소리의 음색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목소리가 굵고 낮거나 가늘고 높은 음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뭘까?
예를 들어 현악기의 음역대는 악기의 크기에 비례하고 현의 두께와 길이에 반비례한다. 바이올린, 첼로, 콘트라베이스는 통의 크기가 크고 현이 두껍고 길수록 음역대는 낮아진다. 관악기의 기본원리는 소리의 공명현상을 이용하는데, 관악기가 길고 크면 클수록 입에서 만들어지는 소리가 반사되어 공명현상이 일어나는 길이와 관의 크기가 넓어져 낮은 소리가 나고, 작은 관악기들은 주로 높은 음역대의 소리가 나는 것이다. 사람의 목소리도 마찬가지이다. 체구가 크거나 뚱뚱한 것과는 관계없이 성대길이와 굵기 그리고 성대에서부터 입까지의 길이와 인두강의 넓이에 의해서 목소리의 높이와 화음이 풍부한 공명 있는 소리가 만들어지게 된다.
즉, 현악기는 현의 진동이 몸통의 공간 안에 전달되어 공명 울림으로 악기의 소리를 만들어내는데, 사람의 발성기관은 현악기와 같은 발성구조를 갖고 있다. 활로 현을 진동시키듯 폐에서 내보내는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는 인두강과 구강을 통해 이동하면서 공명현상으로 맑고 깨끗한 목소리를 만들어내게 된다. 훌륭한 현악기 연주자는 매우 섬세하게 활로 현을 조절하고 정확하게 음을 집어 매혹적인 소리를 만들어내는 것처럼, 훌륭한 목소리를 내려면 호흡의 단단한 지지와 성대의 섬세한 조절에 의한 음의 높낮이, 음의 크기, 음의 안정성을 만들고, 인두와 구강의 종합적인 조절로 아름다운 음색과 미묘한 리듬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즉 성대는 바이올린의 현, 인두강과 구강은 바이올린의 몸체, 발음기인 구강과 혀, 입술은 현을 짚어 음계를 맞추는 역할을 한다.
목소리를 잘 내기 위해서 성대 관리에만 열중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좋은 목소리를 갖기 위해서는 몸의 균형과 조화가 잘 이루어져야 하기에 몸 자체를 관리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서는 폐, 후두, 인두 및 구강은 물론 상반신의 모든 근육들의 기능이 건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간혹 큰 목소리를 위해서는 큰 체구가 필요하리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작은 거인’이라 불리는 가수 이선희 씨나 성악가인 조수미 씨를 생각해보면 큰 목소리가 단순히 체구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고 폐에서의 호흡과 성대 및 후두와 인두강의 조화롭고 체계적인 조절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렇듯 인간의 발성기관은 신이 만들어낸 만능악기로서 한가지 악기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꾸준한 연습과 조화로운 근육의 조절과 균형을 통해서 다양한 악기의 음역대와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즉, 아름다운 목소리란 바로 자기 자신이 만들어 내는 자기 몸의 울림을 의미하는 것이다.
외모보다 더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목소리의 모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