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와 자녀 셋 잃었다”… 가슴에 가족 새기고 마라톤 완주한 男, 무슨 사연?

입력 2024.11.13 14:55

[해외토픽]

일본인 남성과 유니폼 사진
일본의 한 남성이 자신의 아내와 세 자녀의 사진이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마라톤에 완주한 사연이 공개됐다./사진=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오마 케이스케 SNS 캡처
일본의 한 남성이 자신의 아내와 세 자녀의 사진이 새겨진 티셔츠를 입고 마라톤에 완주한 사연이 공개됐다.

지난 11일(현지시각)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오마 케이스케(42)는 올해 초 일본에서 발생한 규모 7.5 대지진으로 아내와 11살, 9살, 3살 자녀를 모두 잃었다. 지진이 발생했던 당시 그들은 아내의 부모님 집에 있었다. 오마 케이스케가 소음을 듣고 주변을 확인하기 위해 혼자 나갔을 때 집이 흔들렸고, 무슨 일이 있는지 깨닫기도 전에 산사태가 집을 덮쳐 가족들이 모두 사망한 것이다. 그는 일본 매체와의 한 인터뷰에서 “차라리 가족들과 함께 죽고 싶었지만, 어떤 이유에서인지 삶이 주어졌고, 그저 믿고 살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사건 발생 10개월 후, 지난 10월 27일에 열린 마라톤 경주에 참여한 그는 마라톤 풀코스를 3시간 58초의 기록으로 완주했다. 특히 오마 케이스케는 마라톤을 뛸 때 가족과 함께하고 싶은 마음에 자신의 유니폼에 가족의 사진을 새겼다. 마라톤 참여를 위해 유니폼을 입고 매일 마을 주변을 10~20km를 달렸다. 그는 “가족들이 하늘에서 너 잘했어라고 칭찬하는 것 같았다”며 “자살의 유혹을 마라톤으로 극복했다”고 말했다. 사연을 접한 누리꾼들은 “하늘에 있는 가족들도 아버지가 건강하게 사기를 바랄 거다” “강인하게 지내고 평화로운 삶을 살기 바란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마라톤은 실제로 정신건강에 좋다. 동아대 의대 재활의학교실 연구팀은 마라톤 동호회 회원 52명(남성 37명, 여성 15명)과 연령‧체격이 유사한 일반인 52명을 대상으로 심리검사를 진행했다. 연구 결과, 마라톤 동호인의 심리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81.3점인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이보다 10점 낮은 71.7점을 기록했다. 노팅검 건강 지수에서 마라톤 동호인은 평균적으로 일반대조군보다 2~3배 낮은 사회적 고립간 6.6점, 정서적 반응 3.4점을 받기도 했다. 노팅검 건강 지수는 0점에 가까울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본다. 연구팀은 마라톤을 했을 때 엔도르핀이 분비되며 스트레스가 해소되고, 장거리 운동이라 완주 후 정신적 성취도가 높을 뿐 아니라, 동호회를 하며 사회적 관계를 맺을 수 있어 정신 건강이 좋아진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마라톤을 하면 노화를 일시적으로 중단시킨다는 연구도 있다. 이탈리아 로마대학교 가브리엘라 마르페 교수팀은 아마추어 마라토너 10명에게 26마일(풀코스 42.195km)을 달리게 한 후 그들의 혈액 샘플을 채취했다. 연구팀은 이들과 비교하기 위해 마라톤을 뛰지 않은 6명의 혈액도 함께 채취해 조사했다. 그 결과, 풀코스를 완주한 10명은 몸에서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혈액 속 세포의 ‘예정사’ 과정이 일시적으로 멈추었다. 세포 예정사란 세포가 내부 또는 외부의 신호에 반응해 세포의 성장, 분열 활동을 중단하고 스스로 사멸하는 과정을 말한다. 연구팀은 마라톤을 장기적으로 할 경우 세포 예정사 중단이 일어나면서 골격과 심장근육 조직을 더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마라톤을 할 때 잘못된 자세로 달리면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무릎, 족부 질환 등을 예방하려면 달리기 전 충분한 스트레칭을 하고 뛰어야 한다. 평소 관절이 약하다면 보호대를 착용하거나 테이핑하고 달리는 게 안전하다. 자신의 체력과 몸 상태에 맞춰 달리는 강도를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