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젤리·탕후루처럼 끈적거리면서도 당분이 높은 음식은 충치 위험도 크다. 충치를 예방하려면 먹은 직후에 양치질을 하는 게 최선이다. 그러나 먹을 때마다 양치질을 할 수는 없는 노릇. 이때 물로만 헹구는 것도 도움 될 수 있을까?
충치유발지수는 특정 음식이 충치를 얼마나 일으키는지 당도와 점착도로 점수를 매긴 것을 말한다. 당도가 높으면 세균에게 많은 먹이를 제공할 수 있어 충치가 잘 발생하는데, 치아에 끈끈하게 달라붙는 정도인 점착도까지 높으면 꼼꼼하게 양치질해도 제거가 어렵다. 충치유발지수는 1점에서 50점으로 매겨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충치 위험이 높다. 젤리가 48점으로 가장 높고 캐러멜, 엿, 딸기잼, 과자, 사탕 등이 뒤를 잇는다.
탕후루의 충치유발지수는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다만 당도도 높고 끈적이는 특성까지 있어서 젤리만큼의 점수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탕후루는 겉면이 딱딱하기 때문에 깨물다가 치아에 금이 가는 등 파절을 일으킬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탕후루와 젤리처럼 충치유발지수가 높은 음식은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유치는 영구치에 비해 약할 뿐 아니라 어린이는 스스로 치아 관리를 하기 어려워 되도록 충치유발지수가 높은 음식은 피하는 게 좋다. 하지만 간식을 아예 먹지 않을 순 없으니 섭취했다면 빠르게 양치질을 해주는 게 좋다.
매번 양치질을 할 수 없다면 물로 헹구기라도 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물로 입안을 헹굴 때 세균의 일부가 제거되기 때문. 강동경희대병원 소아치과 김미선 교수는 “충치유발지수가 높은 음식을 먹으면 3분 이내에 양치질을 하는 게 최선이고 특히 끈적이는 음식을 먹었다면 물로 헹궈낸 다음에 치아를 닦는 게 좋다”며 “당장 양치가 어렵다면 물로만 헹구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어린이는 특히 평소에도 충치를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 충치 예방의 기본은 올바르고 꼼꼼한 칫솔질과 치실 사용 습관이다. 충치는 치아가 서로 맞닿은 면에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칫솔질 후 치실을 사용해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게 좋다. 매번 하기 힘들 경우 저녁때와 주말에는 반드시 치실을 사용한다.
유치에 충치가 생겼다면 조기에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유치에 생긴 충치는 진행속도가 빨라서 금방 썩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어차피 빠지는 이라고 생각해서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있는데 충치를 방치하면 음식물 섭취가 어려워지거나, 염증이 뼈 속까지 퍼져 얼굴이 붓고 전신적인 염증으로 번질 수도 있다. 충치 부위만큼 치아 크기가 줄어들어 영구치가 나오는 자리가 부족해져서 결국에는 교정치료까지 필요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충치유발지수는 특정 음식이 충치를 얼마나 일으키는지 당도와 점착도로 점수를 매긴 것을 말한다. 당도가 높으면 세균에게 많은 먹이를 제공할 수 있어 충치가 잘 발생하는데, 치아에 끈끈하게 달라붙는 정도인 점착도까지 높으면 꼼꼼하게 양치질해도 제거가 어렵다. 충치유발지수는 1점에서 50점으로 매겨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충치 위험이 높다. 젤리가 48점으로 가장 높고 캐러멜, 엿, 딸기잼, 과자, 사탕 등이 뒤를 잇는다.
탕후루의 충치유발지수는 아직 연구되지 않았다. 다만 당도도 높고 끈적이는 특성까지 있어서 젤리만큼의 점수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탕후루는 겉면이 딱딱하기 때문에 깨물다가 치아에 금이 가는 등 파절을 일으킬 수 있어 유의해야 한다.
탕후루와 젤리처럼 충치유발지수가 높은 음식은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유치는 영구치에 비해 약할 뿐 아니라 어린이는 스스로 치아 관리를 하기 어려워 되도록 충치유발지수가 높은 음식은 피하는 게 좋다. 하지만 간식을 아예 먹지 않을 순 없으니 섭취했다면 빠르게 양치질을 해주는 게 좋다.
매번 양치질을 할 수 없다면 물로 헹구기라도 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물로 입안을 헹굴 때 세균의 일부가 제거되기 때문. 강동경희대병원 소아치과 김미선 교수는 “충치유발지수가 높은 음식을 먹으면 3분 이내에 양치질을 하는 게 최선이고 특히 끈적이는 음식을 먹었다면 물로 헹궈낸 다음에 치아를 닦는 게 좋다”며 “당장 양치가 어렵다면 물로만 헹구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어린이는 특히 평소에도 충치를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 충치 예방의 기본은 올바르고 꼼꼼한 칫솔질과 치실 사용 습관이다. 충치는 치아가 서로 맞닿은 면에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칫솔질 후 치실을 사용해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는 게 좋다. 매번 하기 힘들 경우 저녁때와 주말에는 반드시 치실을 사용한다.
유치에 충치가 생겼다면 조기에 치료하는 게 중요하다. 유치에 생긴 충치는 진행속도가 빨라서 금방 썩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어차피 빠지는 이라고 생각해서 치료를 미루는 경우가 있는데 충치를 방치하면 음식물 섭취가 어려워지거나, 염증이 뼈 속까지 퍼져 얼굴이 붓고 전신적인 염증으로 번질 수도 있다. 충치 부위만큼 치아 크기가 줄어들어 영구치가 나오는 자리가 부족해져서 결국에는 교정치료까지 필요해지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