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성호르몬의 일종인 '디하이드로 테스토스테론(DHT)' 때문이다. DHT라는 변형된 남성호르몬이 전립선 내 상피세포와 기질세포 핵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해 크기가 커지는 구조적 변화를 일으킨다. 전립선 세포의 수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 세브란스병원 비뇨의학과 이주용 교수는 "DHT는 테스토스테론보다 전립선에 대한 작용을 5배나 강하게 한다"고 말했다. 문제는 나이가 들면 테스토스테론은 감소하지만 DHT는 늘어난다는 점이다. 고환에서 분비된 테스토스테론은 전립선 세포에 유입된 뒤 5AR효소에 의해 DHT로 전환된다. 이주용 교수는 "나이가 들면 전립선 세포 내 5AR효소의 활성이 증가한다"며 "전립선 내 DHT 농도 역시 증가하면서 전립선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와 관련기사
�섎즺怨� �댁뒪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