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서울 신림역, 성남 서현역 등 번화가에서 불특정인을 대상으로 벌어진 묻지마 흉기 범죄가 발생했다. 인구 밀집지역에서 벌어진 사건이라 범죄를 목격한 사람과 목격 후 정신적 충격을 받은 이들이 많다. 범죄 목격 후 트라우마가 생겨 괴로움을 겪고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자. 트라우마는 저절로 낫기 어려워 적극적으로 치료할 필요가 있는 질환이다.
◇충격적 사건, 목격만 해도 트라우마 생길 수 있어
트라우마의 정의는 '스트레스 사건 중에서 가장 충격적이고 압도적인 경험'을 말한다. 범죄, 전쟁, 폭행 등과 같이 목숨을 잃을 뻔 한 일, 심한 부상을 당하는 경험, 사망 사건에 노출되는 것 혹은 성폭행과 같은 충격적인 경험을 하거나 이와 연관된 상황에 노출되는 일 등은 트라우마를 유발한다. 트라우마는 직접 경험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일어난 사건을 생생하게 목격하기만 해도 생길 수 있다.
트라우마의 반응은 다양하다. 목격한 장면이 반복적으로 떠올라서 괴롭거나 신체적 반응으로 두근거림, 숨 가쁨, 목이나 가슴이 조이는 느낌, 소화불량 및 메스꺼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불면, 과다 각성, 우울, 멍함, 비현실감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오상훈 교수는 "이러한 증상은 자율신경계 과활성 등의 스트레스 반응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졌다"고 밝혔다. 오 교수는 "충격적인 사건을 목격한 누구라도 트라우마 반응을 보일 수 있다"며 "이는 비정상적인 환경에 대한 정상적인 우리 몸과 마음의 반응이다"고 말했다.
◇트라우마 1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적극적인 치료 필수
트라우마 반응은 보통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된다. 그러나 트라우마로 지나치게 괴롭다면 꼭 치료를 받아야 한다. 오상훈 교수는 "트라우마 반응이 너무 심해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라우마 이후에 나타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정신과적 질환은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이며, 이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만일 트라우마 반응이 심하지 않고, 당장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도 있다. 트라우마 반응이 있을 때 실천할 수 있는 정신건강 수칙은 ▲감정을 너무 억누르려 하지 말고, 자신을 이해해줄 수 있는 사람들과 대화하기 ▲친한 사람들과 함께 지내고, 물리적으로 너무 고립되지 않기 ▲적절한 휴식, 운동, 균형 있는 식사로 몸을 돌보기 ▲음악, 목욕, 명상 등으로 긴장을 푸는 시간을 가지기 ▲이사나 이직 등 큰 결정은 뒤로 미루기 ▲미디어와 SNS 노출을 줄이기 등이다.
오상훈 교수는 "트라우마는 뉴스 등을 통해 유사한 장면을 보는 것만으로도 고통스러운 기억을 유발하여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며 "충격적인 사건을 목격한 후 몸과 마음이 힘들다면, 정신건강 수칙을 실천하고, 적극적인 치료도 고려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충격적 사건, 목격만 해도 트라우마 생길 수 있어
트라우마의 정의는 '스트레스 사건 중에서 가장 충격적이고 압도적인 경험'을 말한다. 범죄, 전쟁, 폭행 등과 같이 목숨을 잃을 뻔 한 일, 심한 부상을 당하는 경험, 사망 사건에 노출되는 것 혹은 성폭행과 같은 충격적인 경험을 하거나 이와 연관된 상황에 노출되는 일 등은 트라우마를 유발한다. 트라우마는 직접 경험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일어난 사건을 생생하게 목격하기만 해도 생길 수 있다.
트라우마의 반응은 다양하다. 목격한 장면이 반복적으로 떠올라서 괴롭거나 신체적 반응으로 두근거림, 숨 가쁨, 목이나 가슴이 조이는 느낌, 소화불량 및 메스꺼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불면, 과다 각성, 우울, 멍함, 비현실감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오상훈 교수는 "이러한 증상은 자율신경계 과활성 등의 스트레스 반응으로 발생한다고 알려졌다"고 밝혔다. 오 교수는 "충격적인 사건을 목격한 누구라도 트라우마 반응을 보일 수 있다"며 "이는 비정상적인 환경에 대한 정상적인 우리 몸과 마음의 반응이다"고 말했다.
◇트라우마 1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적극적인 치료 필수
트라우마 반응은 보통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된다. 그러나 트라우마로 지나치게 괴롭다면 꼭 치료를 받아야 한다. 오상훈 교수는 "트라우마 반응이 너무 심해 일상생활이 어렵거나 증상이 1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정신건강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라우마 이후에 나타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정신과적 질환은 PTS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이며, 이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만일 트라우마 반응이 심하지 않고, 당장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스스로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도 있다. 트라우마 반응이 있을 때 실천할 수 있는 정신건강 수칙은 ▲감정을 너무 억누르려 하지 말고, 자신을 이해해줄 수 있는 사람들과 대화하기 ▲친한 사람들과 함께 지내고, 물리적으로 너무 고립되지 않기 ▲적절한 휴식, 운동, 균형 있는 식사로 몸을 돌보기 ▲음악, 목욕, 명상 등으로 긴장을 푸는 시간을 가지기 ▲이사나 이직 등 큰 결정은 뒤로 미루기 ▲미디어와 SNS 노출을 줄이기 등이다.
오상훈 교수는 "트라우마는 뉴스 등을 통해 유사한 장면을 보는 것만으로도 고통스러운 기억을 유발하여 증상이 악화할 수 있다"며 "충격적인 사건을 목격한 후 몸과 마음이 힘들다면, 정신건강 수칙을 실천하고, 적극적인 치료도 고려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의료계 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