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칼럼] 노안과 백내장, 방치 말고 적기에 치료해야

의사 프로필
BGN밝은눈안과 강남교보타워 주락현 원장​

화장품 대리점을 운영하는 황모(57)씨는 얼마 전부터 노안이 심해진 느낌을 찾아 병원을 찾았다. 평소보다 시력이 더 나빠진 것은 물론, 눈 앞에 뿌옇게 흐려지는 증상이 계속되었기 때문이다. 황씨는 의사로부터 백내장 초기 진단을 받았고, 현재 약물 치료 중이라고 있다고 말했다.

이렇게 백내장을 노안으로 혼동하는 케이스는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는 노안과 백내장의 초기증상과 발병 시기가 비슷해서인데, 두 질환 모두 노인성 안질환으로 수정체 이상으로 나타난다. 노안은 눈의 구조 중 수정체가 경화되고 모양체 근섬유의 탄력성이 감소해서 발생하는데, 근거리 시력이 불편해져 글자를 볼 때 눈에서 멀리 하여 보는 습관이 생긴다. 노안은 보통 40세 전후에서 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최근에는 30대 중반부터 증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뿌옇게 혼탁해지면서 나타나는 안과 질환이다. 사물이 안개가 낀 것처럼 흐려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며 일반적으로 60세 이상이 되면 전체 인구의 70%가, 70세 이상이 되면 90%가 백내장 증상을 겪는다.

노안과 백내장 모두 시력이 저하되는 증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이를 구분하기 쉽지 않고 동시에 발병하기도 하기 때문에 40대부터는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질병을 초기에 발견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보통 노안의 경우에는 돋보기를 착용하여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으나, 백내장은 진행 속도에 따라 약물 치료부터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술을 고려할 수 있는데 대표적인 백내장 수술로 꼽히는 것이 바로 '인공수정체 삽입술'이다. 이 수술은 말 그대로 백내장이 생긴 수정체를 흡인하고, 그 자리에 수정체와 유사하게 생긴 영구적인 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시행된다.

인공수정체의 종류는 다초점 인공수정체와 단초점 인공수정체 등 다양한데, 단초점 인공수정체의 경우 원거리와 근거리 중 하나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수술 후에도 돋보기를 착용해야 한다. 그러나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모든 거리에 초점을 맺을 수 있어 노안과 백내장 증상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고 돋보기 착용이 필요 없는데다 통증도 적다. 여기에 수술이나 회복에 드는 시간도 짧아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이 선택한다.

특히, 수술에는 레이저가 사용되는데 이는 눈 조직에 열이 미치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때문에 안구와 각막 등에 가는 손상이 매우 적다. 각막의 난시까지 교정이 가능해 더욱 정교하고, 보다 완벽한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돕는 것이다.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동공 크기에 따라 빛의 굴절을 조절해 근거리와 중간 거리, 원거리를 모두 또렷하게 볼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개인에 따라 야간에 빛 번짐 등의 부작용을 겪을 수 있고 직업과 연령, 기저질환 등에 따라 적절한 렌즈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수술 전 정확한 검사와 의사와의 상담을 거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 칼럼은 BGN밝은눈안과 강남교보타워 주락현 원장의 기고입니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