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병사, 제초 작업 후 사망… 한타바이러스 감염 추정

입력 2020.08.26 11:02
제초 작업하는 군인 사진
제초작업을 하다 한타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사진= 'SBS 뉴스' 캡처

강원도 철원의 육군 병사가 제초 작업 후 한타바이러스 감염증인 신증후성출혈열(HFRS) 의심 증세로 숨졌다.

25일 육군에 따르면 6사단 소속 A 일병은 11∼12일 부대에서 제초 작업을 하고 1주일 뒤인 19일 체온이 40도가 넘는 고열 증상을 보였다. 21일 국군포천병원으로 이송된 뒤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받아 음성이 나왔지만, 한타바이러스 검사에서 양성이 나왔다. 이후 A 일병은 증세가 악화해 경기도 성남 분당서울대병원으로 이송됐지만, 이달 23일 숨졌다. 사후 진단 검사에서도 한타바이러스 양성 반응이 나왔다. 군 당국은 해당 병사가 한타바이러스에 걸렸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육군 관계자는 "전방 부대 병사들에게는 한타 바이러스 감염증 예방 백신을 접종한다"면서 "A 일병도 백신을 접종받았지만, 한타바이러스 감염증에 의한 패혈증 쇼크가 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타바이러스는 바이러스에 감염된 설치류의 침·배설물에 의해 인간에게 전파된다. 주로 풀밭 등 야외에서 활동하는 군인·농부들이 감염된다. 한타바이러스는 주로 폐와 신장에 심한 감염을 일으키는데, 폐에 감염되었을 때는 폐증후군(HPS), 신장에 감염되었을 때는 신증후성출혈열(HFRS)이 생긴다. 감염된 장기가 달라도 증상은 대개 동일하게 나타난다. 발열·두통·근육통으로 시작해 기침·호흡 곤란·신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증상이 가벼운 경우는 2~3주 내에 회복되지만, 심하면 패혈성 쇼크로 이어져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풀밭 등 야외활동을 할 경우 장화나 바지, 긴 상의를 착용하고 설치류 배설물 등의 접촉을 피해야 한다.

占쎌쥙�⒳펺�뗭삕占쎈��띶뜝�꾪�e뜝�숈삕占쎄퀣援삣뜝�뚮땬占쎌닂�숅뿙�댐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뗭삕占쎈끏已�뜝�뚯쪠占싸우삕占쎈Ŋ�뺝뜝�뚯뒠占쎌궍�앾옙�덉굲�좎럩伊숂뙴�묒삕�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