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라리아·뎅기열 같은 '모기 매개 감염병' 주의

입력 2016.05.02 07:30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11~2015년)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를 분석한 결과,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 인핸 진료 인원이 매년 2천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기 매개 감염병은 모기를 통해 감염되는 질환으로 말라리아, 일본 뇌염, 뎅기열 등이 있다.

모기 매개 감염병 진료 인원 4명 중 1명(24.8%)은 20대였으며, 40대 18.4%, 50대 15.8%, 30대 15.3% 순이었다.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여성보다는 남성 진료 인원이 많았으며, 특히 20대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2.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운동 등 야외활동을 활발히 해 모기와 접촉할 기회가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모기 매개 감염병을 예방하려면 모기가 서식하는 환경, 특히 위험지역(감염병 발생 지역, 경고 지역 등)에 가지 않는 것이다. 부득이하게 위험 지역을 방문해야 할 때는 모기기피제를 사용하거나 긴 옷을 입어 노출 부위를 최소화하고, 해외 여행(위험 지역) 시 예방을 위해 약을 복용(주사 포함)해야 한다. 국내의 말라리아 위험 지역은 경기, 인천, 강원 일부 지역이며, 해외는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지역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최희경 상근심사위원은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야 하며, 잠복기에는 수혈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으므로 헌혈 시에는 항상 위험 지역이나 헌혈 제한 지역을 방문했는지를 체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고신대학교 보건환경학부 이동규 교수는 “숲모기는 뒤나 옆에서 주로 공격하기 때문에 긴 상하의를 착용해 팔다리 노출 부위를 최소화하고, 목에는 수건 등을 둘러 보호해야 한다"며 "모기기피제는 지속 시간을 감안해 3~4시간 간격으로 적절하게 재도포해야 한다”고 말했다.

 

 

占쎌쥙�⒳펺�뗭삕占쎈��띶뜝�꾪�e뜝�숈삕占쎄퀣援삣뜝�뚮땬占쎌닂�숅뿙�댐옙 占쎌쥙�⒳펺�뗭삕�앾옙�뗭삕占쎄퉮援꿨뜝�뚯쪣占쏙옙 占쎌쥙�⒳펺�뗭삕占쏙옙�뗭삕占쎈끏已�뜝�뚯쪠占싸우삕占쎈Ŋ�뺝뜝�뚯뒠占쎌궍�앾옙�덉굲�좎럩伊숂뙴�묒삕�좑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