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차단제, 발림성vs저자극 중 뭘 선택할까?

사진=조선일보 DB

일반적으로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에는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와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로 이 두 가지는 자외선을 차단해 주는 원리가 다르다.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는 피부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여 자외선을 반사시키는 방법으로 자외선을 차단한다. ‘징크 옥사이드’나 ‘티타늄 옥사이드’ 등 미네랄 성분이 함유돼 피부에 막을 형성하는 원리로 피부 밀착력이 뛰어나다. 화학성분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피부자극이 적고 물리적으로 피부 표면에서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차단 범위가 우수하다.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화학 성분이 피부 속에 흡수 된 뒤 자외선이 침투하면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며 자외선을 흡수 분해하는 원리다.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아보벤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벤조페논-3’(옥시벤존) 등의 화학성분이 들어가서 백탁 현상이 없고 발림성과 사용감은 좋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자외선 차단제도 성분을 확인한 후, 자신에게 맞는 제품을 고를 필요가 있다.

의료계 뉴스 헬스케어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