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척추관협착증 spinal stenosis

정의
신경이 지나는 척추관이 좁아져서 신경이 압박받는 병으로, 중년 이후에 비교적 흔하게 생긴다. 요추관협착증 또는 퇴행성전방전위증이라고도 한다.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중앙의 척추관, 신경근관 또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요통을 유발하거나 다리에 여러 복합적인 신경증세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 때문에 다리 전체가 터질듯이 아프고 마비증세가 발생한다.

증상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증상이 발현되며, 대부분 중년이후의 환자에게서 발생한다. 주된 증상으로는 요통과 다리로 뻗치는 방사통이 있다. 요통은 이 질환의 거의 모든 환자에게 나타나는 만성적 통증으로 허리에 통증이 있으면서 다리까지 저리고 아프기 때문에 디스크로 오인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질환의 특징은 오래 서 있거나 한참 동안 걸으면 허리에서부터 다리까지 한쪽 또는 양쪽 다리가 아파 오면서 다리 전체가 몹시 아프거나 저려서 조금 걷다가 주저앉게 된다. 어떤 환자는 다리 감각의 마비를 호소하고, 다리에 힘이 빠져서 주저앉게 된다고 호소하기도 한다. 때로는 발바닥에서부터 엉덩이 쪽으로 증세가 아래에서 위쪽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누워 있거나 쉬면 별다른 증세가 없다가도 서거나 걸으면 하지에 통증이나 저린 증세가 나타난다. 따라서 가다가 쉬고 가다가 쉬는 간헐적인 파행이 나타난다. 협착증이 심해지면서 걷는 시간도 점차 짧아져 초기에 30분 정도 가다가 쉬어가야 하던 것이 20분, 10분, 5분, 1분으로 줄고 나중에는 앉아 있다가 서기만 해도 통증을 느끼고 주저앉게 된다. 이런 증상은 척추관협착증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지만, 일부 혈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MRI 등 방사선 검사와 필요시 혈관조영 등 특수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원인
척추관이 좁아지는 원인으로는 척추뼈가 두꺼워 지거나(골극형성), 척추관절을 이루는 후관절이라는 곳이 비후되고, 혹은 뼈외에 황색인대라는 연부 조직이 두꺼워 져서, 전체적으로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는 것이다.

치료
치료는 크게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인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우선 발병 초기에는 안정을 취하고 이때 더운 찜질, 초음파치료 또는 견인장치 등의 물리치료를 병행하면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보존적 치료에도 통증이 계속되거나 증세가 어느 정도 좋아졌다가도 자주 재발하는 경우, 진찰했을 때 신경 이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적인 치료를 한다. 수술은 보통 척수신경 감압술이라는 방법을 사용하여 압박을 받고 있는 척수를 풀어 주는 것으로 성공률은 90% 이상이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