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당뇨망막병증 diabetic retinopathy

정의
미세한 망막 혈관에 피가 제대로 돌지 않아 생기는 당뇨 합병증이다. 당뇨망막병증은 크게 비증식성 망막병증과 증식성 망막병증으로 나뉜다. 일단 망막의 혈관이 막히거나 혈관벽이 손상을 받으면 망막이 허혈상태에 빠지면서 부어오르게 되는데 이것을 비증식성 망막병증이라 한다. 비증식성 망막병증이 더 진행되면 망막에 불필요한 혈관이 새로 자라는데, 이렇게 생긴 혈관(신생혈관)은 정상 혈관보다 더 잘 터지므로 눈 속에 심각한 출혈을 일으킨다. 이를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이라 한다. 또 망막의 신생혈관 옆에 섬유성 조직이 증식하는 경우도 생기는데, 이렇게 되면 망막이 당겨져서 벽지가 들떠서 일어나는 것처럼 내벽에 평평하게 붙어있어야 할 망막이 구겨지면서 내벽과 떨어진다. 이를 견인성 망막박리라 부른다. 당뇨망막병증은 당뇨환자의 숙명이다. 아무리 혈당량 관리를 철저히 해도 당뇨망막병증을 피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당뇨병 발병 15~20년이 지나면 거의 모든 환자에게 당뇨망막병증이 생기고, 그 중 1/4 정도가 실명 위험이 있는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으로 발전한다. 그러나 뒤집에 생각하면 실명 위기에 처하는 당뇨 환자는 1/4밖에 되지 않는다.

증상
시야가 흐려질 수 있지만 당뇨병성 망막병증의 증상은 망막이 심하게 손상을 입기 전까지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병이 진행되면서 망막의 연약한 새 혈관이 터지거나 망막박리에 의해 한 눈의 시력이 갑자기 떨어지기도 한다.

원인
비증식성 망막증은 초기의 망막증으로 국소적으로 출혈이나 삼출물 등이 망막에 나타나지만 보통 시력이 심하게 저하되지는 않고 차츰 진행되어 증식성 망막증으로 이행한다. 증식성 망막증은 시신경과 망막에 새로운 혈관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하며, 이렇게 새로 생긴 혈관은 우리 몸의 원래 혈관과 달리 혈관벽이 대단히 약해 파열이 잘되며 이런 경우 초자체출혈이 발생하여 환자는 갑작스러운 시력 감퇴 -(출혈양이 많은 경우)나, 눈앞에 구름이 가린듯 일부분의 시야 장애를 느끼게 된다.-(출혈양이 비교적 적은 경우).

치료
당뇨망막증의 정도에 따라 치료유무를 결정하게 되는데 치료는 일반적으로 약물치료, 레이저광응고술, 수술적 처치등이 있다. 당뇨병 환자는 안과 의사와 내과 의사가 긴밀히 협조하여 일생동안 정기적인 관찰, 검사, 치료에 임해야 한다. 1) 혈당 조절 혈당이 높으면 망막병증의 진행이 가속화되므로 가능한 망막병증의 진행을 둔화시켜야 한다. 그러나 당뇨조절이 너무 과도하게 되어 저혈당이 생기게 되는 경우도 망막병변을 악화시키므로 저혈당도 조심해야 한다. 2) 약물 치료 망막 혈관벽이나 혈액성분에 작용하여 망막 미세혈관 순환을 개선시키는 약물 등이 시도되고 있다. 3) 레이저 치료 레이저 광응고술은 현재의 당뇨망막병증을 완전히 치료한다든가 시력을 좋게 하기 위해 시행하는 것이 아니라 예방 목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4) 초자체 절제술 망막병증의 치료를 잘 안하였거나 레이저 치료에도 효과를 보지 못한 진행된 망막병증으로 인하여반복성 초자체 출혈이 생길 때, 수개월 이상 초자체 출혈이 있을 때, 한쪽 눈이 실명되고 반대측 눈에 초자체 출혈이 생길 때, 견인성 망막박리가 있을 경우 등에 시행한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