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백혈병 leukemia

정의
혈액을 구성하는 성분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이 있다. 이중 백혈구는 외부의 침략군으로부터 인체를 지켜내는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그 수치가 지나치게 증가하는 것이 백혈병이다. 백혈병을 혈액암이라 부르는 이유는 백혈규가 암세포로 변하기 때문이다. 백혈병 환자는 암세포로 변한 비정상 백혈구가 증가함에 따라 정상적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생산이 줄어들고 그 때문에 결국 사망하게 된다. 백혈병은 크게 골수성 백혈병과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나누며, 각각 급성과 만성이 있다. 따라서 백혈병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 만성 골수성 백혈병,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등 4가지 종류로 나뉜다.

증상
1) 급성 백혈병은 림프성과 골수성 모두 증상이 비슷하다. 피로, 두통, 심한 편도선염, 관절과 뼈에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적혈구 감소에 따른 빈혈, 정상 백혈구 감소에 따른 감염 및 발열, 그리고 혈소판 감소에 따른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따라서 코피가 나거나 치과 치료후 지혈이 되지않고 피부에 점상출혈이 생기고 여성의 경우 월경이 멈추지 않는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치료하지 않고 두면 전신에 퍼진 감염과 심한 출혈로 환자의 수명은 2~3일 혹은 2~3개월로 끝난다. 2)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가장 빈도가 높은 유형으로 전신권태와 식욕부진 등을 보이며 차차 발증을 보인다. 적혈구와 정상 백혈구, 혈소판 등의 생산이 모두 줄어 드는 것으로 적혈구 감소에 의한 빈혈, 혈소판 감소에 의한 출혈 경향(감소는 코피, 잇몸출혈, 피하출혈, 뇌출혈) 등이 나타난다. 또한 간장과 비장이 커지며 복부 팽만과 포만감이 생기고, 식욕을 상실하여 체중이 감소한다. 뼈의 동통, 구타통, 안저변화, 시력감퇴도 일어난다. 백혈구 수가 엄청나게 증가한다. 3) 만성 림프성 백혈병은 미국에서 가장 흔한 골수 종양으로 50세 이상에서 발명하며남성에 더 많다. 전신의 림프절이 조절할 수 없이 증식하여 림프절과 림프조직에 축적되고 골수, 간, 비장으로 번져나간다. 빈혈증세가 나타나며 백혈구는 증가한다.

원인
백혈병의 원인과 관련해서는 방사선 피폭만이 백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을 뿐 그 밖의 발병 원인은 아직껏 분명하지 않다.

치료
1) 급성 백혈병은 항암화확요법을 받게 된다. 부족한 혈액 세포를 보충하기 위해 수혈을 받고, 감염 예방을 위한 항생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때에 따라서 뇌에 있는 백혈병 세포를 죽이기 위해 방사선 치료를 받기도 하고, 적절한 공여자가 있을 경우에는 골수 이식을 고려할 수 있다. 골수이식이란 백혈병세포의 완전제거를 위하여 실시한 항암요법 및 전신 방사선조사로 인해 손상을 입은 골수세포의 복원을 위해 다른 사람의 골수, 또는 미리 냉동 보존했던 자기의 골수를 다시 주사하여 넣어 주는 방법이다. 골수이식을 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나이가 49세 이하여야 하고, 또 환자의 조직적 합성 항원이 일치하는 골수를 제공할 사람이 있어야 한다. 2) 만성 골수성 백혈병은 경구 항암 화학요법을 많이 사용한다. 비장이 너무 커진 경우 수술로 제거하는 경우도 있다. 급성기에는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하고 골수이식은 만성기에 시행한다. 3) 만성 림프성 백혈병은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한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