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췌장암 pancreatic cancer

정의
췌장에서 발생한 암을 말한다. 췌장은 몸의 정 가운데에 있으며 위, 십이지장, 소장, 대장, 간, 담낭, 비장 등에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암이 발생해도 발견하기가 매우 어렵다. 췌장의 주된 역할은 소화액을 만드는 것(외분비)과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등 여러 호르몬을 만드는 것(내분비)이다. 췌장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은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이나 역으로 혈당을 높이는 글루카곤 등으로서, 이들은 혈액 속으로 분비된다. 췌장에서 발생하는 암의 90% 이상은 외분비에 관계된 세포, 특히 췌액을 운반하는 췌관의 세포에서 발생하는데 이것을 따로 췌관암이라고 한다. 보통 췌장암이라고 하면 이 췌관암을 말하는 것이다.

증상
췌장암 특히 초기 췌장암은 특징적인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췌장암 환자들을 살펴보면 위 근처와 등이 답답하거나 속이 안좋다거나 식욕이 없다는 막연한 증상을 보이는데 식욕 저하, 체중 감소 등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런 증상은 여러 질환에서 자주 보이는 증상으로 비교적 췌장암과 관계 있는 증상을 꼽자면 황달을 들 수 있다. 활당은 췌장의 머리부분에 암이 생겨 담관이 막히게 되었을 때 나타나는 증상으로 몸이 가렵고 소변 색은 짙어진다. 막연한 소화기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초음파검사나 내시경, 위X선 검사 등을 실시하여 위염, 위궤양, 담석 등의 일반적 소화기질환이 있는지를 조사하고, 황달이 있는 경우에는 우선 초음파검사로 담관이 막혀 있는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원인
정확하게 원인이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흡연·음주·커피·발암성 화학물질(가솔린, 드라이크리닝 용제 등), 고지방 및 고칼로리 식습관, 담석증, 만성 췌장염 등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흡연은 확실히 췌장암의 발생빈도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하루 2갑 이상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비흡연자에 비해 췌장암에 걸릴 위험성이 2∼3배 높다.

치료
췌장암의 주된 치료법으로는 수술요법, 방사선요법, 화학요법(항암제) 등이 있다. 췌장암은 치료하기 어려운 병이기 때문에 특정 치료법을 단독으로 실시하는 것보다는 종양의 진행정도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치료법 몇 가지를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좋다. 집학적 치료라고 하는데 수술+방사선요법+화학요법이나 방사선+화학요법 등이 있다. 조기진단과 예방이 중요하며 특히 담배, 술, 커피를 금해야 한다. 1) 외과요법(수술) 외과요법은 암이 있는 곳을 잘라내는 절제술과 병변의 진행으로 근치적인 절제술이 불가능할 때 시행하는 고식적인 수술방법으로 나뉘는데 현재까지 췌장암은 수술적인 절제가 선행되어야 완치를 기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췌장의 꼬리부분에 암이 생긴 경우에는 미측췌절제라고하여 췌장의 몸통부분, 꼬리부분과 비장을 절제한다. 암이 있는 범위에 따라서는 췌장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2) 방사선요법 방사선을 환부에 닿게하여 암세포를 파괴하는 치료로서 일반적으로는 몸 밖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는 외조사를 실시하지만, 수술 중에 복부 속에만 방사선을 조사하는 술중조사나 암에 의해 막힌 곳에 관을 넣어 그 속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는 강내조사라고 하는 방법을 쓰기도 한다. 3) 화학요법 항암제를 사용하여 암세포를 죽이는 치료다. 이 방법에는 전이에 대한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잘 일어난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4) 기타 환부의 온도를 높여 암세포를 파괴하는 온열요법이나 암에 대한 면역력을 높여 암의 성장을 억제하는 면역요법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부작용이 적다는 이점이 있습니다만 단독으로 행해졌을 때에는 치료효과가 별로 없기 때문에 다른 치료와 함께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관련기사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2/19/2008021901338.html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