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건강한 부부가 일정기간(보통 1년~2년) 동안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하고 있음에도 임신이 성립되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현재 10∼15% 가량 부부가 불임상태에 있는데, 불임의 원인에 따라 남성불임과 여성불임으로 나뉜다.
증상
건강한 젊은 부부가 일정기간(보통 1~2년) 동안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한 후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다.
원인
1) 남성불임 - 정자의 숫자가 적거나 운동성이 떨어진 경우에 발생하며, 그 원인으로는 염증을 앓은 병력, 사고, 선천성 정자생성장애 등이 있다.
2) 여성불임 - 호르몬 이상, 배란장애, 자궁이상, 자궁경관 점액의 이상, 나팔관 이상과 그 외 자궁내막증, 결핵, 수술 등이 있다.
치료
불임 치료의 기본은 불임 검사를 통해 임신이 안되는 원인을 밝혀내 적절한 치료를 실시하는 것이다. 불임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하여 남자는 정액검사, 내분비검사, 면역학적검사, 고환조직검사, 정액기능검사, 경직장초음파촬영술, 정관정낭조영술 등의 검사를 시행하고 여자는 기초체온 측정, 질내용검사, 경관 점액검사, 자궁 내막검사, 난관 소통성 검사, 골반강경이나 복강경에 의한 골반 내 또는 복강 내의 직시관찰 등의 검사를 시행한다.
여성과 남성의 생식기관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수술로써 복원하고, 정자나 난자배출에 문제가 있는 경우는 내과적 방법으로 배출을 유도한다. 그 외에도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체외수정이나 인공수정법을 시도한다.
불임의 치료법으로는 인공수정, 나팔관 인공수정아기, 접합자 난관내 이식, 미세수정, 난자 세포질내 정자 직접 주입술, 미세적 부고환 정자흡입술, 고환내 정자 추출술, 원형정자세포 주입술, 보조 부화술, 체세포 공동배양, 수정란 동결보존, 정액 동결보존, 난자 공여 등의 방법이 있다. 대표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체외수정(시험관아기 임신)은 여성의 난소에서 배란기의 난자를 흡입 채취하여, 시험관 내에서 남편의 정자와 함께 수정이 일어나도록 하고, 수정란을 배양기 안에서 2∼3일간의 세포분열기를 거친 후, 여성의 자궁 안에 넣어주면 모체의 자궁에 착상이 된다. 일단 착상되면 자연적으로 임신한 것과 마찬가지로 임신과 분만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2) 인공수정은 남자의 무정자증으로 인한 불임일 때 시행된다. 정액제공자로부터 정액을 정자은행에 -196℃이 냉동정액으로 보관하였다가 여성의 자궁경부 및 질 내에 배란기 때 주입해서 임신을 유도한다.
3) 나팔관인공수정(GIFT)은 나팔관아기 시술은 시험관이나 체외에서 수정하게 하는 방법이 아니므로 시험관아기에 비하여 생리적이라고 할 수 있다. 나팔관아기를 시술받기 위해서는 한 쪽 또는 양쪽 나팔관이 정상인 경우에만 시술이 가능하다. 시술방법은 임신율을 높이기 위하여 우선 여성의 체내에서 우수한 난자를 많이 얻어야 한다. 따라서 배란유도제를 투여하여 여러 개의 난포를 자라게 한 뒤, 난포가 성숙하면 질식초음파를 이용하여 난자를 채취한다. 난자가 채취되면 전신마취하에 복강경을 사용하여 나팔관에 가느다란 관을 넣고 정자와 난자를 이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