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백과

녹내장 glaucoma

정의
눈 안의 압력, 즉 안압이 높은 상태이며 이 높아진 안압에 의해 시신경이 눌려서 손상을 받고 그 결과 시야가 좁아지거나 변화를 초래하는 질환이다. 이는 대개 눈 안 방수(房水)의 생성과 배출 경로에 이상이 있을 때 일어나는 것으로, 주로 배출 경로가 막혀 안압이 상승하게 된다. 녹내장은 나이가 들면서 많아지고 60세 이상에서 많이 나타나는데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실명할 수도 있다. 녹내장은 급성과 만성/ 선천성과 이차성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 녹내장은 갑자기 생기고 급격히 시력을 잃게 되고 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만성 녹내장은 천천히 통증 없이 생기며 눈이 심하게 손상될 때까지 별 증상이 없다. 선천성 녹내장은 아주 드문 형태로 눈의 배수 기관 이상으로 생기며, 이차성 녹내장은 포도막염과 같은 원인 질환이 있거나 스테로이드제 안약을 써서 생긴다.

증상
초기 단계에서는 시력장애가 거의 없으며 환자 자신도 시력장애를 느끼지 못하다가 말기에 가서 중심 시력만 남는 시력장애를 겪게 된다. 급성녹내장의 경우 급작스럽게 시력이 저하되고, 눈에 심한 통증이 오며, 눈이 붉어지고 눈물이 난다. 선천성 녹내장인 경우에는 생후 1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나는데, 아기가 빛을 보면 부셔서 눈을 잘 뜨지 못하고, 눈물을 흘리고, 눈꺼풀 경련이 나타나며, 안구가 커져 짝눈이 되기도 한다.

원인
녹내장은 원인 불명의 원발성 녹내장과 홍채염이나 안내출혈 등 눈병의 결과에서 오는 속발성 녹내장이 있다. 전염되거나 생명을 위협받지도 않지만 당뇨병성 망막증과 더불어 실명을 일으키는 무서운 안질환이다. 녹내장은 한번 발병되면 이미 손상된 시신경이 다시 복구되지 못하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녹내장의 완전한 치료방법은 없으나 조기 발견하면 약이나 수술로 진행을 저지하거나 병세에 따라 안압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완치되는 것은 힘들고 평생 약물, 레이저 치료, 수술 등의 방법으로 안압을 조절하여 시신경의 장애를 최소화해야 한다. 약물치료로 안압이 조절되면 수술을 하지 않은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약을 사용해도 안압 조절이 안 되는 경우에 수술을 하게 되는데 최근에는 레이저의 발달로 녹내장 수술의 많은 부분을 레이저로 대치하여 좋은 결과를 얻고 있다.

* 본 질병정보는 참고자료이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맨 위로